레이블이 다큐멘터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다큐멘터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5년 10월 27일 목요일

[mov] 송환 | Repatriation | 送还

송환
" tt_link="" tt_w="350px" tt_h="502px" tt_alt="" />
"몇 번의 눈물과 여러 차례의 한숨, 그리고 머릿속을 떠나지 않던 생각 하나"


송환을 보고 난 감상이다. 생각해보면 난 간첩에 대해서 초등학교 웅변대회 말고는 별다른 기억이 없다. 간첩을 생포하고 사살하던 뉴스도 그저 그런가보다 했을 뿐 인상에 남아있는 부분이 별로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북정책이나 간첩사건, 조작사건 등으로 인해 부지불식 중에 내가 받은 영향은 꽤 된다고 생각한다. 그 영향은 장성해서 나름대로 '사실'을 알고 있는 지금 지워지지 않는 흉터로 남은 듯 하다. 나 혼자만의 흉터가 아닌, '모두'의 흉터.


간첩이 아닌 북한에 대해서는 (지금은 전혀 그렇지 않지만) 나도 '북괴'란 말을 사용했던 어린 시절이 있었고 김일성, 김정일, 그리고 북한주민을 뿔달린 괴물로 묘사하는 그림을 그린 적이 있었다. 어린 시절의 기억은 나이를 먹으며 떨쳐내려고 해도 쉽지 않은 부분이 많다. 아직도 어린 시절 "똘이장군"이나 "해돌이의 대모험"같은 '만화영화'에 열광했던 기억이 생생하다. 내 의지가 아니었음에도 강제적으로 뇌리에 각인되었던 간첩, 북한의 이미지와 그것을 바탕으로 한 한국 사회의 정체성은 나의 성장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고 한참 후에서야 차츰 거짓틀에 대해, 잘못 교육 받아온 것에 대해 알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벗어날 수 있었던 것 같다.


하지만 사람들 사이에서 여전히 회자되는 대북 사상, 관념들은 왜 그런 것일까. 그 시절을 피와 눈물로 살아온 어르신들 이외에 젊은 세대들을 옭죄고 있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역사는, 기억은, 경험은 세습되고 유전이 되나보다. 거부하지 않는 한.


김동원 감독님은 한국독립영화의 대부로 알려져 있다. 사석에서 몇 번 뵌 적은 있지만 이야기는 나누지 못했었다. 그 분의 모습은 옆 집 아저씨같은 넉넉한 인상과 목소리로 기억을 하는 것이 전부다. 그 분이 12년에 걸쳐 기록한 간첩의 이야기 '송환'은 그 분의 이미지에 비해 다루는 내용의 충격 내용으로 인해 더욱 아이러니한 느낌을 주는 것 같다. 더불어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그러나 그 생각들은 어떠한 말로도 표현을 할 수가 없다. 영화는 비극을 담고 있지만 비극을 그대로 보여줄 수 있는 사회가 되었다는 점에서 희망을 얘기하고 있음을 어렴풋이나마 알 것 같다.


나는 어떠한 신념을 가지고 살고 있는지, 그 신념을 위해 인생 모두를 버릴 수 있는지 영화를 보는 내내 반문하고 또 반문했다. 거듭되는 반복의 굴레, 윤회의 굴레를 벗어버리기엔 이놈의 경직된 사회는 너무도 견고하지만 끊임없는 두드림과 노력으로 차츰 완화되고 있긴 하다. 그저 난 반문 밖에는 할 수 없다. 스스로 묻고 있지만 스스로 답을 얻어내기란 요원해 보인다. 일단은 살아가는 수 밖에 없는 것일까. 아직도 난 '미전향'과 '비전향'이란 말이 주는 엄청난 간극의 뉘앙스를 쉽게 체화해내지 못하긴 하지만 영화는 내게 인생을 송두리째 묻고 있고 그로 인해 답답한 마음만 한가득이다.


죽음과 싸워 지켜낸 것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죽음을 이겨내고 자유를 찾고서 또다시 죽음을 마주하는 이들 삶의 가치는 무엇일까. 오만가지 생각이 머릿속을 채우고 가슴은 먹먹하기만 하다.


12년의 기록이 지난 50여 년의 이야기를 모두 담아낼 수 없듯 50여 년의 상처는 시간이 얼마나 흘러야 아물 수 있을까.


이미지 출처 :: http://imgmovie.naver.com/mdi/mi/0382/C8253-0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