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병이란?
중국 남송시대(南宋時代)부터 전해지는 과자로, 음력 8월 15일에 둥근 달의 모양을 상징해서 만든다. 밤 ·수박 ·배 ·감 등 둥근 과일과 함께 달에게 바쳤으며, 가까운 이웃과 서로 나누어 먹고 행복을 빌어주는 관습이 있었다. 재료로는 밀가루, 라드, 설탕, 물엿, 달걀, 팥소, 말린 과일, 둥근나무틀이 필요하다.
만드는 법으로는 밀가루에 라드 ·설탕 ·물엿 ·달걀 등을 섞어 뜨거운 물로 반죽해서 껍질을 만들고, 안에 팥소 또는 말린 과일을 넣은 다음 무늬가 있는 둥근나무틀에 끼워서 모양을 만든다. 마지막으로 표면에 광택을 내는 액(난황 ·설탕 ·캐러멜 등으로 만든다)을 바르고 굽는다.
지금은 중국의 명과(銘菓)로서 시판되고 있는데 주로 추석(중추절) 직전에 만들며 추석이 지난 뒤에는 그다지 만들지 않는다. 중국의 전통 과자이지만 연회식단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광둥[廣東] 지방과 홍콩에서는 특별히 추석에 한해서 월병을 만들어 시판한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중국 남송시대(南宋時代)부터 전해지는 과자로, 음력 8월 15일에 둥근 달의 모양을 상징해서 만든다. 밤 ·수박 ·배 ·감 등 둥근 과일과 함께 달에게 바쳤으며, 가까운 이웃과 서로 나누어 먹고 행복을 빌어주는 관습이 있었다. 재료로는 밀가루, 라드, 설탕, 물엿, 달걀, 팥소, 말린 과일, 둥근나무틀이 필요하다.
만드는 법으로는 밀가루에 라드 ·설탕 ·물엿 ·달걀 등을 섞어 뜨거운 물로 반죽해서 껍질을 만들고, 안에 팥소 또는 말린 과일을 넣은 다음 무늬가 있는 둥근나무틀에 끼워서 모양을 만든다. 마지막으로 표면에 광택을 내는 액(난황 ·설탕 ·캐러멜 등으로 만든다)을 바르고 굽는다.
지금은 중국의 명과(銘菓)로서 시판되고 있는데 주로 추석(중추절) 직전에 만들며 추석이 지난 뒤에는 그다지 만들지 않는다. 중국의 전통 과자이지만 연회식단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광둥[廣東] 지방과 홍콩에서는 특별히 추석에 한해서 월병을 만들어 시판한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월병은 이렇게...
![]() 포장 - 여러 종류가 있다. | ![]() 열어보면? |
![]() 6개 모두 맛이 다르다. | ![]() 그 중에 하나를;;; |
![]() 안에 뭐가 들었을까? | ![]() 맛있게 보이나? |
가격은 몇 천원부터 몇 만원까지 다양하게 있다고 한다. 어떤 월병 세트에는 포도주도 함께 있다. 포도주를 월병과 함께 마시는 이유는 이번에 T.V를 보다가 알게 된 사실인데 월병이 영양가가 풍부하고 열량이 많은 반면 뜨겁게 해서 먹는 게 아니라 찬 음식이기 때문에 그렇다고 한다. 음, 그렇다면 찬음식과 포도주의 관계는.... 잊어버렸다.-0- 어쨌든 월병을 맛있게 먹는 방법 중에 하나는 끓인 뜨거운 물 혹은 차(녹차, 우롱차, 홍차 등등)와 함께 먹거나 포도주와 함께 먹는 것이라고 한다.
직접 사서 시식을 하려고 했었는데 이번 애니메이션 행사 때 알게 된 조선족 교수님께서 직접 사서 선물로 주셨다. (감사합니다. 잘 먹겠습니다.) 사실 월병은 하나만 먹어도 한끼를 먹은 것 같이 영양도 풍부하고 속도 든든하다. 요즘은 다양하게 속을 만들어 넣기 때문에 종류도 많다고 그런다. 그런데 듣자하니 동북쪽(장춘 포함) 월병은 그다지 맛이 없다고 한다.-_- 상해 등을 포함한 남방쪽, 혹은 홍콩 등의 지역에서 파는 월병이 종류도 많고 맛도 좋다고 그런다. 월병의 영문 이름은 'Moon Cake'
각 나라마다 명절 때 먹는 음식은 다 다르겠지만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나 즐기는 방법들은 비슷하지 않나 싶다. 특히 아시아 지역 국가들은 말이다. 언제 기회들 되시면 맛보시기를~^^
그나저나 송편 안 먹어본지도 꽤 오래된 것 같네.
월병에 대한 또 다른 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