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경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경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2월 24일 수요일

희망을 품으며 희망을 경계한다.

'희망'처럼 상투적인 단어도 없지만 '희망'이란 말처럼 꿈을 꾸게 하는 단어도 많지 않은 것 같다.

 

하지만 희망을 자주 말하는 걸 경계한다. 희망없는 세상에서 희망은 너무나 쉽게 나오는 말이기 때문이다. 희망이란 말을 하면서 자신의 희망을 타인으로부터 취하려는 자들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나와 너의 희망이 같아지려면 꽤 오랜시간을 대화하고 소통해야만 한다.

 

그럼에도 가끔은 희망을 품는다. 조심스럽게, 급하지 않게 희망을 품는다. 그리고 너에게, 나에게 몇 번이고 묻는다. 희망이 무엇인지, 품어도 되는 희망인지. 급하게 품는 희망은 희망이 아니다. 경박하게 품는 희망 역시 희망이 아니다. 희망은 기다림이다. 흐르는 시간을 지켜봐야만 하고 그 시간 속에서 조금이라도 변해가려는 의지가 전보다 확고해져야 한다.

 

지금 당장 불만이라고 해서 희망을 품거나 희망이 금새 오지 않는다 해서 버리는 희망은 '희망'이 아니다. 어쩌면 여러 차례의 기회라고 생각되는 시간이 흘렀다고 생각될 즈음, 어쩌면 더 이상 희망이 없다고 생각할 즈음, 꺽인 허리를 펴고 기력없는 다리를 움직일 즈음 희망은 생겨나는지도 모르겠다. 어쩌면 내가 희망을 품는 게 아니라 희망이 나를 품어 일으키는 지도 모르겠다.

 

 

무겁게 매달린 귤들이 모두 떨어져도 절대 먹지 않고 그대로 버린다는 지인(人)의 소위 '부자 귤나무'. 눈 앞에 싱그럽게 매달린 과실을 보면서도 먹지 않아야 하고, 바닥에 떨어져도 아까워하지 않고 버려야 하는 나름의 규칙은 기다림과 인내를 통해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건 아닌가 싶다. 그리고 모든 귤들이 떨어지고 버려진 후에 다시 열매 맺기가 시작되는 것이다.

 

2009년 3월 20일 금요일

공무원, 바이엘, 대기업

  • 2000억 R&D센터 유치 무사안일 공무원이 날려 / '무사안일' 공무원, 2000억 R&D 센터 날렸다 기사를 보면… 그러니까 '말'과 '행동'이 따로 노는 경지를 보여주는 행태가 아닌가 싶다. 멋지다.(R&D센터, 바이엘-쉐링, 이희열 대표, 제약센터, 동아시아 허브)2009-03-20 21:41:37

  • 문제는! 자신의 업무에 소홀한 공무원들에 대한 처벌이나 징계는 늘 가볍다는 게 더 문제다. 시험 한 번 잘 봐서 공무원이 되고나면 평생의 철밥통이 생긴다는 것인가.(철밥통, 공무원)2009-03-20 21:45:33

  • 공무원(정치인 포함)은 일에 대한 책임소재, 도덕성 등에 대해 가장 엄격해야 할 직업군이다. 그들은 국민의 세금으로 월급을 받고 국민의 세금으로 일을 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공무원, 책임소재, 도덕성)2009-03-20 21:45:50

  • 과연 공무원의 잘못으로 2000억 투자유치가 날라간걸까?나쁜기업 바이엘(Bayer)이라는 포스트는 아래 적은 글의 조급함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공무원에 대한 생각은 변함없지만 '바이엘 R&D센터'에 대해서는 다시 생각하고 또 생각한다.(반성, 조급함)2009-03-20 21:59:00

  • 기업에 대해서는 늘 신중해야 한다. 특히 (巨)대기업일 경우엔 더욱 그렇다. 초국적, 다국적 기업이면서 자국내에서 최대 기업이면서 존경받고 정직한 방법으로 부를 일궈내고 사업을 진행하는 기업이 몇이나 될까…에 의문, 방점. 무지해지지 않도록 경계하고 또 경계해야 한다.(기업, 대기업, 경계, 의문)2009-03-20 22:01:22

이 글은 자유인님의 2009년 3월 20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2005년 7월 27일 수요일

경계

나이를 먹어갈 수록 분명해지는 것이 있다.
나이를 먹어갈 수록 모호해지는 것이 있다.
그 경계선은 언제나 뚜렷한 건 아니다.

결국 선택을 통해 내 스스로 분명함과 모호함을 확정지어야 한다.
말한다고 그래서 분명한 것도 아니고
말하지 않는다고 해서 모호한 것도 아니다.

난 여전히 궁금한 것 투성이지만
실마리조차 찾아낼 곳은 아직까지 없다.
늘 원점에서 시작하는 것만 같다.
그런데 그게 날 조급하게 만드는 건 아닌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