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마음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마음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9년 12월 7일 월요일

몸과 마음의 습관

'3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말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습관이란 건 참 무섭다. 내 육근동작 움직임 대부분이 습관 속에서 나오는 것임엔 틀림없다. 

가령, 책상다리를 하고 앉을 때 왼발이 오른쪽 무릎 위에 올라오는 것,
걸음을 걸을 때 어깨를 약간 뒤로 제치듯 펴고 걷는 것,
얼굴 땀을 닦을 때 왼손이 먼저 올라오는 것,
소위 말하는 짝다리를 짚고 서 있을 때 오른쪽으로 몸을 기울이는 것,
윙크를 할 때 오른눈을 감는 것,
양치질을 할 때 오른손으로 하는 것,
핸드폰은 왼쪽 바지 주머니에 넣는 것,
열쇠는 오른쪽 주머니에 넣는 것,
썩소를 지을 때 오른쪽 입꼬리가 올라가는 것 등등

사실 위에 열거한 몇 가지 습관들은 반대로 해도 아무 상관없다. 다만 조금 불편할 뿐이다. 불편하다는 건 익숙하지 않다는 것이지 괴로운 정도는 아니다. 어느 순간 내 행동양식은 습관이 들었고 그 습관에 맞춰 생활하다 보니 다른 식으로 행동하는 것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게 된 것이다. 

내 마음과 사고(방식)은 어떤가. 습관이 들어 쉽게 고쳐지지 않는 부분은 없는가. 어떤 상황에 대한 편견은 없는가. ... 없을 수가 있나. 분명이 있다. 다만, 그 편견과 편향이 과연 정당한 것인가. 반대편에 서서 생각했을 때 불편함은 있겠지만 그럴려고 노력은 해보았는가. 반대편에 서서 사고하고 생각하며 불편함을 감수하려고 했었는가를 반문한다. 

자신의 신체에 국한되는 몸의 습관과는 달리 마음과 사고의 습관은 반대로 했을 때 주변사람들에게 손가락질을 받거나 욕을 얻어먹을 수도 있다. 특히 자신의 전체 삶과 가치관에 큰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하지만 분명 역지사지를 충분히 하고 반대편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고민한 후에 자신의 '편견'과 '편향'을 주장할 수 있어야 한다. 마음과 사고의 습관은 반대에 서는 가상(假想)의 행위를 통해 발전하고 진화하며 폭을 넓혀간다.

쓰지 않았던 다른 쪽 몸, 신체를 어색하게 움직여보면서 내 마음과 사고 역시 나와 상대를 투영해 범위를 확장해 본다. 습관인 줄 모르면 고치려는 노력 역시 사막 위의 신기루마냥 공허하다. 뜬구름 잡는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습관을 습관이라고 명확히 알고 나면 그걸 고치려는 노력, 혹은 범위를 확장시키려는 노력 등은 그 자체로 재미도 있고 신이 난다.

습관은 앎에서 시작하되 망각으로 흘러간다. 하지만 그 망각의 강에서 벗어나면 지금의 내 현재가 명확해진다. 변화는 두려움 없는 자의 몫이고 변화는 새로운 삶의 시작을 여는 문열이다. 몸에 배인 (좋지 않은) 것들을 털어내는 것만으로도 변화는 시작된다.

2008년 3월 24일 월요일

조화로운 삶 - 남자와 여자의 차이

어느 블로그가 소개해 놓은 글,

남자는
상황을 먼저 이해하면 마음이 풀린다.

여자는

먼저 마음이 풀려야만 상황을 이해하기 시작한다.

100% 동의한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지만, 게다가 남자든 여자든 각각의 상황마다, 성격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 근래의 내 모습을 보면 충분히 이해가 되고도 남음이 있다. 함께 살고 있는 사람과 간혹 다투기도 하는데 그럴 때마다 내가 설명하거나 요구하는 부분은 대부분 "이러이러한 상황에서 저러저러하면 안된다."거나 "이런 상황에서는 이렇게 하는 것이 더 좋은 것 같다"는 것이다. 하지만 상대방은 늘 "말 뜻은 이해하지만" 어떤 말로 인해, 어떤 태도로 인해 상처를 받았다거나 "기분이 이러이러하다"는 걸 더 강조하곤 한다.

조물주가 인간을 만들어 냄에 있어 남자와 여자를 특별히 다르게 만든 이유가 궁금해지는 지점이다. 왜 "화성인간"과 "금성인간"의 간격만큼이나 다르게 사고하고 행동하게 만들었을까. 세상만물은 모두 음양의 조화로 이루어져 있음을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특히 자주 접하고 소통하는 "사람"이란 피조물은 어.렵.다.

하지만 분명 조화로운 삶은 가능한 부분이기 때문에 남자가 먼저 "여자의 마음을 헤아리거나" 여자가 먼저 "상황에 대한 수긍"을 하게 된다면 오히려 문제해결이 쉬워지거나 서로의 장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 것이다.

여전히 난 "상황"에 대한 "대처"가 우선이지만 "상황"에 대한 "마음"을 살피는 노력을 게을리해서는 안되겠다...싶다.

2008년 2월 25일 월요일

소화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불이 타오르고 있을 때 쓰기 위함이 아닌
모두 다 타고 난 후 재만 남았을 때
꺼지지 않은 불씨를 위한,
마지막이 깔끔하기란 쉽지 않기에
집착과 미련이 다시 타오르려 할 때 필요한,
내 마음의 불을 끄기 위해 필요한 소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