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령, 책상다리를 하고 앉을 때 왼발이 오른쪽 무릎 위에 올라오는 것,
걸음을 걸을 때 어깨를 약간 뒤로 제치듯 펴고 걷는 것,
얼굴 땀을 닦을 때 왼손이 먼저 올라오는 것,
소위 말하는 짝다리를 짚고 서 있을 때 오른쪽으로 몸을 기울이는 것,
윙크를 할 때 오른눈을 감는 것,
양치질을 할 때 오른손으로 하는 것,
핸드폰은 왼쪽 바지 주머니에 넣는 것,
열쇠는 오른쪽 주머니에 넣는 것,
썩소를 지을 때 오른쪽 입꼬리가 올라가는 것 등등
사실 위에 열거한 몇 가지 습관들은 반대로 해도 아무 상관없다. 다만 조금 불편할 뿐이다. 불편하다는 건 익숙하지 않다는 것이지 괴로운 정도는 아니다. 어느 순간 내 행동양식은 습관이 들었고 그 습관에 맞춰 생활하다 보니 다른 식으로 행동하는 것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게 된 것이다.
내 마음과 사고(방식)은 어떤가. 습관이 들어 쉽게 고쳐지지 않는 부분은 없는가. 어떤 상황에 대한 편견은 없는가. ... 없을 수가 있나. 분명이 있다. 다만, 그 편견과 편향이 과연 정당한 것인가. 반대편에 서서 생각했을 때 불편함은 있겠지만 그럴려고 노력은 해보았는가. 반대편에 서서 사고하고 생각하며 불편함을 감수하려고 했었는가를 반문한다.
자신의 신체에 국한되는 몸의 습관과는 달리 마음과 사고의 습관은 반대로 했을 때 주변사람들에게 손가락질을 받거나 욕을 얻어먹을 수도 있다. 특히 자신의 전체 삶과 가치관에 큰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하지만 분명 역지사지를 충분히 하고 반대편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고민한 후에 자신의 '편견'과 '편향'을 주장할 수 있어야 한다. 마음과 사고의 습관은 반대에 서는 가상(假想)의 행위를 통해 발전하고 진화하며 폭을 넓혀간다.
쓰지 않았던 다른 쪽 몸, 신체를 어색하게 움직여보면서 내 마음과 사고 역시 나와 상대를 투영해 범위를 확장해 본다. 습관인 줄 모르면 고치려는 노력 역시 사막 위의 신기루마냥 공허하다. 뜬구름 잡는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습관을 습관이라고 명확히 알고 나면 그걸 고치려는 노력, 혹은 범위를 확장시키려는 노력 등은 그 자체로 재미도 있고 신이 난다.
습관은 앎에서 시작하되 망각으로 흘러간다. 하지만 그 망각의 강에서 벗어나면 지금의 내 현재가 명확해진다. 변화는 두려움 없는 자의 몫이고 변화는 새로운 삶의 시작을 여는 문열이다. 몸에 배인 (좋지 않은) 것들을 털어내는 것만으로도 변화는 시작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