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연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연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5년 10월 2일 일요일

난 가슴이 아프다고 밖엔 다른 생각이 없다.

나는 강준만씨를 좋아한다. 때론 존경한다. 사랑스럽기도 하다. 마찬가지로 김규항씨를 좋아하고 존경하며 사랑스럽게 느낀다. 내게 노선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난 쉽게 대답할 수 없다. 내 삶은 "열심히 살아서 참된 삶의 가치를 완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B급 좌파니, 중도 보수니 하는 선에 내 삶을 얹히기가 참 힘들기 때문이다.

김규항씨의 글 중에 (앞 뒤 문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거나 현재 돌아가는 상황을 잘 알아채지 못했다면 죄송스럽지만) "자, 이제 한번 살펴보자. 그래서 세상은 변했는가? 언론이 변하면 세상이 변한다고 했고 정치가 변하면 세상이 변한다고 했는데 세상은 정말 변했는가?"라는 말이 있었다.

난 역으로 되묻고 싶다. "정말 언론이 변했는가?" 물론 나 또한 언론 하나가 변한다고 해서 세상이 쉽게 변한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개인적인 기억으론 김대중씨가 대통령이 되었다고 발표가 된 다음 날 세상의 공기가 더 상쾌할 줄 알았고 하늘 빛이 달라질 거라 생각했던 (어떤 면으론) 무지몽매한 인간이었다. 하지만 난 지금의 언론이 달라졌다 생각하지 않는다. 강준만씨의 글을 읽으며 공감을 했던 내용, 지지를 했던 내용이 지금 현재 하나도 바뀌지 않았다고 난 생각한다.

아무리 이야기를 해도, 실천으로 보이려 해도 달라지지 않는 현실에 염증을 느껴, 혹은 본인의 내공에 힘이 달려 강준만씨는 절필을 했다고 믿는 우매한 백성이 느끼는 건... 강준만씨가 목에 핏대를 세워 말하던 때와 지금의 상황은 달라진 게 없다는 것이다. 과연 우리는... 아니, 나는 무엇을 했는가.

강준만씨와 김규항씨를 이간질할 생각은 추호도 없다. 난 앞서 말한대로 두 분을 좋아한다. 그리고 두 분의 설왕설래는 애정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느낀다. 다만, 난 작금의 상황이 과거와 달라진 게 없다고 느끼는 것 뿐이다. 매체가 달라졌고 방식이 달라졌고 행태가 기형으로 변한 것 뿐이다.

정태춘씨가 92년도부터(라고 생각한다) 불러왔던 사회 비판적 노래들의 가사는, 특히 "아! 대한민국" 노래의 가사는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나는 생각한다.

왜, 그렇게 싸우고 투쟁하는데 혹은 조금씩 삶의 형태를 바꿔가는 데 변하는 건 없을까. 변하는 게 없다고 생각하는 내가 어리석다. 분명 변해가고 달라져 가고 있다. 다만, 기득권들의 양태는 그리 쉽게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김규항씨가 고백한 대로 "나는 매우 성실한 미디어 학자인 그가 이 쇼가 갖는 진정한 의미를 모를 거라고는 상상할 수 없다."는 것에 희망을 건다. 비슷한 곳, 같은 곳을 바라보는 이들끼리의 아픈 비판은 추분히 공감을 하겠다는 것이다.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여전히 '조선일보'의 행태와 노선에는 그다지 이해를 하고 싶은 생각도 없다.

그냥, 어리숙한 생각으로 김규항씨의 꾸준한 일상의 투쟁과 강준만씨의 격렬한 논쟁이 늘 공존하며 "괜찮은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민초들에게 크고 작은 경종이 되길 바라는 마음 뿐이다.

억지 연대가 아닌, 비판적 연대가 필요한 때에 기득권에 밥그릇을 걸고 싸우는 이가 부족하다는 것은 평범하게 삶을 '잘' 살아보려고 하는 내겐 더 견디기 힘든 상황일 뿐인 것이다.

그게 '쇼'가 되었든 '삶'이 되었든 난 두 양반의 노선엔 '대동소이'함이 보이는 것이지 '소동대이'를 느끼진 않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여전히 두 양반과 같은 삶의 글쓰기를 하는 사람이 그립고 삶의 실천을 하는 이들이 그리울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