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호칭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호칭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6년 8월 24일 목요일

"조선족"이 "조선족"인가? 호칭에 대한 주절거림...

아래 글도 그렇고 내 블로그를 뒤지다 보면 가끔 "조선족"이란 단어를 접할 수 있다. 난 "조선족"이란 말이 싫다. "조선족"이 싫은 게 아니라 부득이하게 사용하고 있는 "조선족"이란 "단어"가 싫다. 물론 "고려족"도 마찬가지다.  다시 말하면, 한국인들이 사용하는 "조선족"이란 말에 숨겨진 "차별"을 싫어한다. 미국, 일본, 유럽에 살고 있는 한국인, 한국인 2-3세는 그들의 국적에 상관없이 무조건 교포, 동포라고 부르는 반면 한국보다 경제상황이 좋지 않은 나라에 살고 있는 이들은 '족'이란 조사를 붙여 부르거나 다른 이름으로 부르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에 살다보면 조선족을 만나는 건 비일비재한 일이고 한국의 많은 매체에서도 조선족이란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한국인들의 눈엔 조선족은 이방일 뿐이고 자신들보다 계급이 낮은 존재로 인식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아닌 사람도 많다는 거 안다.) 이런 개념들이 사람들의 의식 속에 자리하게 된 건 언제부턴가. 자본주의가 만들어 낸 문제라고만 치부하기엔 복잡하다. 왜 이런 차별을 시작하게 된 것일까.

현재 한국의 기원은 많은 사람들이 말하길 '고조선'이라고 한다. '옛날 조선'이란 뜻이겠지. 그렇다면 그 조선이란 이름을 버리고 한국-코리아가 된 이유는 뭘까. 일본인들이 조센진(조선인)이라고 부르는 건 한국인을 얕잡아 보는 것이라 발끈하면서도 우리는 너무 쉽게 조선족을 "조선족"이라 부르고 있다. 만약 각 나라별로 호칭하는 방법에 따라 정한 호칭법이라면 고려인은 "까레이스키"가 되어야 할테고 조선족은 "차오시엔주"가 되어야 할 것이다. 베트남의 "라이따이한"처럼. 하지만 내가 알고 있는 외국인들은 보통 국적에 따라 자신을 나타낸다.(내 이해가 부족할 수도 있지만) 국가위주의 편재 속에서 당연한 일이다. 가령 "나는 미국인이지만 아버지는 멕시코인이고 어머니는 프랑스인이다."라고 말한다. 그럼 그 사람은 어떤 민족이 되어야 하는 것일까.

혈통순결주의, 민족주의 때문에 해외에 살고 있는 수 많은 동포들을 '한국인'으로 부르길 원하지만 그로 인해 많은 문제들을 양산해 내고 있고 그들에 대한 인식의 차로 인해 반목과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 과연 옳은 일인가? 단지 경제상황이 좋지 않은 나라에 살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한국인들에게 차별대우를 받아도 된다는 뜻인가? 이미 한국에서도 혈통순결주의는 빛을 바랜지 오래다. 상식적으로 생각해 봐도 900번 이상 외래의 침략을 받은 한국에서 100% 한민족이라고 부르는 건 어불성설이다.(여성을 비하하거나 다른 뜻은 없으니 오해 마시길.) 게다가 현재 많은 외국인들도 한국 국적을 취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다면 그들은 한국인인가, 아닌가. 한민족의 범주 내에 포함시키지 못하는 민족, 혈통은 한국인이 될 수 없는 것인가. 국가와 민족, 인종으로 사람을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자본주의 사회에서 계급으로 사람이 재편되고 있는 현실에서 누군가를 부르는 호칭은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그 중요하지 않을 수 있는 호칭인데 왜 신경쓰냐고 묻는다면? 위에서도 말했지만 호칭은 별 중요하지 않다. 문제는 그 호칭에 담겨진 차별이 문제다. 호칭을 바꾸건 바꾸지 않건 상관없지만 그 호칭에 담긴 차별이 사라지지 않는 한 그 호칭이 분명 문제가 있다. 단어는 생각과 사상을 담는 그릇. 하지만 때론 그 그릇으로 인해 생각과 사상이 바뀔 수도 있다. 간혹 "형식이 본질을 규제"하기도 하니까.

중국 조선족이 처음부터 "조선족"은 아니었다고 한다. 간도 땅에 살고 있던 조선족은 알게 모르게, 영문도 모른 채 중국 공산당에 의해 중국인이 되어버렸다고 한다. 당시 중국인들이 조선족을 호칭했던 말은 "조선인"이었다. 이유는 북한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불려지고 있었고 간도 땅 조선족들은 북한을 자유로이 왕래할 수 있었던 탓이다. 게다가 그들은 중국에도 북한에도 편입되지 않았던 사람들이었다. 그들이 중국과 북한의 이해관계에 의해 이리저리 이용(?)당하다가 어느 순간 중국인이 되었고 중국은 조선인을 자신들의 소수민족의 일부분으로 편입시키고자 "조선족"이라 부르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리고 한국인들 역시 그들을 조선족이라 부르고 있다. 한국인이 조선족이라 부르는 저의에는 중국에 대한 반감, 멸시와 함께 그들 자체를 무시하고 멸시하는 의미가 함께 내포되어 있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물론 대다수가 그렇지는 않을 거라 믿는다. 하지만 인터넷상에서나 한국의 매체에서 그들을 다루는 태도를 보면 역시 비관적이다.

이런 저런 이유때문에 내가 바라는 바는 호칭에 상관없이 그들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똑같은 대우를 해주는 것이다. 그게 여의치 않다면 캠페인 차원으라도 혹은 공식적으로라도 해외에 있는 같은 민족들에 대한 호칭을 통일시켜주길 바란다. 대한민국 정부가 들어서기 전 혹은 후에 타의에 의해 외국인이 될 수 밖에 없었던 이들에 대해 깊은 이해와 배려, 애정으로 다가섰으면 하는 바램이다. "조선족"을 "중국동포 혹은 재중동포"(현재 이렇게 부르고 있는 경우가 많아졌다)로 러시아, 우즈베키스탄과 같은 지역은 "러시아 동포, 우즈벡 동포"등으로 불러주거나 혹은 각 나라에서 한인을 부르는 고유명사로 직접 불러주던가 하면 좋겠다. 아니면 외국에 사는 중국인들을 화교라고 부르듯이(화교는 华侨-화치아오라는 뜻으로 중화의 화, 우거(거주)할 교를 써서 외국에 사는 중국인이란 뜻이다. 华人이라고 해서 중화인의 줄임말인데 이는 한인(韓人)과 같은 말.) 다른 단어를 만들어도 좋을 듯 싶다. 적절한 단어가 생각이 나지 않는다.(있다면 알려주시거나 제안해 주시길.)

그렇지 않아도 호칭에 무척 민감한 대한민국에서 위와 같은 현상은 자연스러울지 모르겠지만 그 호칭이 많은 차별을 만들어 냄을 안다면 말하는 사람도, 듣는 사람도 모두 맘 편하지는 않을 것이다.

(생각하고 쓴 글은 뭐 정리가 될까마는) 막 써내려간 글이라 정리가 잘 안되고 있다. 윽.

2005년 11월 21일 월요일

호칭의 문제

김규항씨 블로그에서 ‘선생님과 사장님’ 이란 포스트를 봤다.


호칭 문제는 나도 몇 년 간 지속적으로 고민을 하던 문제라 전적으로 공감을 표한다. 사실 호칭에 대해 별 다른 고민 없이 살아온 세월이 더 많았기에 여전히 새로운 사람을 만날 때면 호칭 때문에 난감할 때가 여러 번 있었다. 결국 내가 선택한 방법은 연배가 비슷하거나 아래일 경우엔 ‘~씨’라 하고 연배가 좀 많을 경우엔 ‘선생님’이라 칭한다. 여기서 연배의 비슷함이나 많을 경우의 경계선이 모호하긴 하지만 나름대로 상황파악을 해가며 쓰는 호칭이기에 큰 무리는 없다.


직책을 붙여 부르게 되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예를 들자면 ‘교수’다. 그런데 ‘교수’의 직책에 오르려면 시간강사->겸임강사->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정교수의 수순을 밟아야 하기에 엄밀히 말하면 내가 접해있는 ‘판’에서는 ‘교수’라 부를 사람들이 별로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다고 ‘강사’라는 호칭을 붙이기에는 냉랭한 분위기가 형성이 되기 때문에 ‘선생님’으로 부르고 있다. 시간강사를 해본 경험이 있는 나는 학생들이 내게 ‘교수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어색하고 불편해서 몇 번을 ‘강사’나 ‘선생’으로 불러달라고 해도 학생들은 ‘교수’라 부른다. 또 ‘교수’라 부르지 않으면 불쾌해하는 ‘선생’들도 꽤 있나 보더라. ‘박사’의 경우는 단지 ‘학위’의 이름을 뿐인데도 최상의 계급을 나타내는 호칭으로 불려지곤 한다. ‘아무개 석사’라고 하는 호칭은 들어본 적이 없다. 물론 ‘박사’라는 직책이 있긴 하지만 ‘박사 학위’를 가진 이들 역시 ‘박사’로 불려지는 걸 좋아하는 것 같다. 그리고 그건 곧 신분의 상승을 의미한다.


일본에 정통하신 한 ‘선생님’의 말에 의하면 일본은 한국처럼 직책을 부르는 경우는 별로 없고 ‘~씨’와 같은 호칭으로 부른다고 한다. 중국에 정통하진 않지만 내가 알고 있는 바에 의하면 중국에서도 남자의 일반 호칭은 미혼, 기혼 모두 ‘선생’이다. 여자는 미혼일 경우에 ‘시아오지에(小姐)’, 기혼일 경우에 ‘뉘스(女士)’가 된다. 직책을 붙여 부르는 경우는 서로 잘 알고 난 후지만 잘 알고 난 후에는 공식적인 자리 외에는 보통 바로 이름을 부르곤 한다. 어르신일 경우엔 성(姓) 앞에 라오(老)를 붙이기도 한다. 나이가 어릴 경우엔 역시 성 앞에 시아오(小)를 붙인다.(사실 중국의 호칭에도 ‘계급’이 존재한다.) 영어권 나라의 경우엔 Mr. Miss. Mrs를 붙이겠지.


아무리 한국 사회에 인도의 카스트와 같은 계급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호칭을 보면 계급이 존재함을 확연히 알 수 있다. 그 계급은 ‘자본주의’에서 발생한 계급을 우선으로 다방면에 걸쳐 계급을 형성하며 호칭을 부르도록 강요하고 있는 것이다.


‘사장님’이란 얘기를 많이 하게 되는데 나처럼 약간 나이가 들어 보이는 젊은이가 어디를 가더라도 장사하는 사람들은 나를 ‘사장님’으로 불러 세우길 마다하지 않는다. 난 사장님이란 말을 들을 때 꽤 불쾌하고 언짢다. 내가 언어로 해를 입은 것까지는 아니지만 그저 나를 ‘돈지갑’ 정도로 보는 것으로 판단이 되기 때문이다.


호칭 문제에서 조금 옆길로 새긴 하지만 그와 관련된 또 하나의 문제가 있다. 바로 ‘나이’다. 예전엔 내 나름의 기준으로 호칭을 하겠노라고 마음을 먹고서도 나보다 어린 사람이 내게 ‘~씨’라고 하면 쉽게 넘겨지지 않았었다. 나 역시 ‘나이’라는 계급 사회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것이고 ‘형’이나 ‘형님’ 대접을 받으려는 ‘조폭 사회’의 생리를 답습하고 있었던 것이다. 생각해보면 직책으로 부르게 되는 호칭도 문제겠지만 ‘나이’가 가지게 되는 호칭으로 인한 보이지 않는 알력 다툼도 꽤 큰 문제가 되는 것 같다. 인간들 서로가 존중하고 이해하려는 겸양의 자세보다는 줄을 세우고 등급을 매겨서 자신이 속한 계급 속에서 누리고 묻어가려는 심리가 많지 않나 싶다. 아무리 옳은 얘기를 하고 정당한 요구를 해도 일단 나이가 어리면 끗발이 서지 않는 사회다. 서로 ‘나이’로 제압하고 ‘직책’으로 제압하는 사회에서 평등한 대화가 오고 가길 바라는 건 어려운 일이다. 호칭은 상대방에 대한 존중의 의미도 있겠지만 ‘인간’끼리 소통을 하려는 기본 틀이기도 하다.


‘형식은 본질을 규제한다’는 말이 있다. 무심코 사용하는 단어에 내 삶이 구속되고 매여갈 수 있음을 느낀다. 호칭에서 계급이 사라지게 되는 때가 참으로 계급이 사라지게 되는 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