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저작권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저작권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9년 3월 1일 일요일

워낭소리가 초기버전이 돌고 있다는 제작사의 이야기...



몇 년 전 중국에서 한국의 모 영화 DVD를 사서 보았는데 그게 정품도 아니고, 그렇다고 정품을 복사한 것도 아니고 필름을 틀어놓고 그대로 녹화한 버전이었다.(물론 지금 중국은 정품DVD 구매가 점점 늘어가는 추세이긴 하지만 여전히 불법복제 시장은 활황이다.) 극장에서 누가 캠으로 찍었나보다 생각했는데 조금 지켜보니 그게 아니다. 개인이 영사기를 돌리면서 캠코더로 녹화를 한 것이었다. 하긴 당시 그 영화는 한국에서 상영 종료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DVD 발매소식도 들은 적이 없었던 터라 구매를 하면서도 이상하긴 했다. 결국 그건 '내부인'의 소행이지 않았나 추측해 볼 뿐이었다. 위 링크에 걸린 내용을 보면서 떠오른 기억이다.

얼마 전 중국에 다녀올 일이 있어 DVD나 살 요량으로 상점에 들렸는데 DVD출시 소식도 들어보지 못한, 비매품일 법한 한국 애니메이션 모음집이 돌아다니고 있었다. 독립장편영화도 몇 편 돌아다니고 있었다. 중국인들이 도대체 얼마나 신속한 마법을 부리기에 한국에서조차 구할 수 없는 DVD들이 돌아다니고 있는지 놀랄 뿐이었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면 중국의 불법복제시장의 유통경로가 어떻게 되는지 정확히는 알지 못하지만 그건 대부분 '워낭소리' 사건과 같이 한국 內 '내부자'의 소행일 확률이 많을 거란 생각이 들었다. 물론 '내부자'의 소행이라고 추측만 할 뿐 확실치 않고 물증도 없으니 단언하기도 어렵다. 하지만 이번 '워낭소리'의 경우를 보면 그런 일들이 적지 않게 벌어지고 있는 건 확실해 보인다. 일단 내가 중국에서 본 한국 DVD 중에도 관계자가 아니면 절대로 외부에 유출시킬 수 없는 작품들도 있었으니 말이다.

그렇게 뒤통수를 치는 '내부자'들이 있는 이상 같은 판에 있는 관계자들끼리, 또는 일반인들과 어떤 논의를 할 수 있을까. 생선을 고양이에게 맡긴 격이 된 셈이랄까. 참 슬픈 일이다.

2007년 9월 12일 수요일

창작물과 공유(共有)

CCL(Creative Commons License)를 이야기하면서 쉽게 생각하지 못하는 게 '수정'이라는 부분일 것이다. 자유로운 배포, 저작자의 표기, 비영리적 목적 등을 통해 '공유(共有)'의 개념을 확산시켰던 게 CCL임에도 불구하고 무분별한 '수정'과 '배포'를 통해 '영리'를 획득하는 개인이나 단체들이 생겨나고 있으니 이는 라이센스 개념을 오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창작 영상물(영화, 애니메이션, 촬영물 등)을 제작한 후 마땅히 보여줄 공간을 마련하지 못했던 사람들에게는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UCC나 블로그, 기타 게시판 등을 통해 상영의 기회를 얻는 듯 했으나 이 또한 창작 노동에 대한 댓가를 바라기에는 시스템과 제도가 턱없이 부족할 뿐더러 댓가를 바라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창작물을 '퍼 감'과 동시에 '왜곡'시키며 그를 통해 창작자가 아닌 '퍼간 이'들이 주목받고 이익을 취하게 되는 현실은 분명 정상적이지 않다.

듣자하니 모 인터넷 애니메이션 상영제에서 CCL이나 Copyleft 개념을 도입했던 적이 있었다고 하는데 문제는 이러한 개념이 주최측이나 컨텐츠를 제공한 창작자 모두 정확한 알지 못하거나 잘못된 해석으로 인해 남용되었다는 것이다. 물론 라이센스는 창작자의 선택과 결정에 따라야 하는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창작자가 모든 개념들을 다 알고 있어야 하는 건 아니다. 다만, 창작자들의 컨텐츠를 가지고 모종의 '행사'를 주최하게 될 때는 주최측이 창작자보다 법률적으로나 시스템적으로 더 자세히 알고 있어야 하고 창작자들에게 사용개념에 대해 충분히 설명해 주어야 한다. 사실, 창작자건 사용자건 간에 법률적인 용어는 이해하기가 쉽지 않은 게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알면서도 불법을 자행하는 경우보다 모르기 때문에 불법을 자행하는 경우들이 빈번하게 생기고 있지 않나 싶다. 그렇다고 해서 자신의 창작물이 어떻게 사용될지 몰랐던 이들이 책임을 면할 수는 없지만 역시 시스템을 주도하고 있는 쪽에서 보다 정확한 개념을 홍보하며 확산시켜가야 하지 않나 싶다.

창작물에 대한 공유의 개념, 혹은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자리가 잡을 때, 비로소 여러 창작물들이 노동의 댓가를 돌려받을 수 있을 것이고 창작자 역시 창작자로서 대접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 않는 한 창작자가 땀흘려 만들어 놓은 영상물들은 어느 순간 '공짜'나 다른 이익을 위해 마련된 '공짜'의 개념으로만 취급될테고 그건 곧 한국에서 창작을 하는 노동자들은 배 곯지 않기 위해 창작을 하지 않는 상황까지 이어질 것이다.

물론 영상물에만 국한되는 이야기가 아니다. 모든 창작물이 대접을 받고 댓가를 지불받게 되어야 한다는 생각엔 다른 여지가 없다.

2005년 11월 28일 월요일

합법적인 무료 음악 서비스

블로그아고라에서 '합법적인 무료 음악 서비스 Q~'라는 포스트를 봤다. 호기심에 들어가 읽어봤는데 방식이 꽤 신선하다. 따라서 이것저것 해보는데 툴바를 설치하라고 뜬다. sp2를 쓰기 때문에 바로 설치가 되지는 않았는데 '툴바'라는 얘기에 살짝 망설이긴 했다. 그러다가 한 번 해보고 맘에 들지 않으면 '강력한 삭제 툴'로 지워야겠다고 맘을 먹고 설치를 했다. 설치 후 검색해 보고 Q~사이트에도 가서 음악을 검색해보니 이거 참 괜찮은 '물건'같다.


물론 여전히 어둠의 경로를 통해 많은 MP3를 다운 받아 각종 프로그램으로 듣는 게 보편화 되어있긴 하지만 저작권에 휘둘리지 않으면서도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방법임엔 틀림없어 보인다. 음악 저작권 문제가 대두되면서 많은 포털 사이트에서 음악 링크 거는 것 조차 금지를 시키고 유료로 음원을 사서 한정된 기간 내에 사용하게 했는데 Q~에서 서비스하는 방식은 이를 역이용하는 셈이 되었다.


이는 블로그라는 매체가 붐을 일으키면서 새롭게 모색된 방법인 듯 싶다. 방금 Q~ 툴바를 설치해서 음악을 들으면서 작성하는 포스트라 더 많은 얘기를 할 수는 없겠지만 첫 느낌은 꽤 신선하고 재밌다.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에는 음원을 확보하고 있는 블로그를 닫으면 안된다. 약간 불편(?)하다고 느껴질 지 모르겠지만 어쩌면 이는 음원을 가지고 있는 블로거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 툴바가 조금 더 진화하면 툴바 내로 블로그에 대한 정보가 기록이 되고 익스플로어는 띄워지지 않을 수도 있겠다.


누군가 적당한(?) 사용료를 지불한 음원에 대해 '거시기'한 방법으로 듣는 셈이긴 하지만 블로그는 서로 공유할 때 그 가치가 살아나는 법이고 음원에 대해 사용료를 지불한 블로거도 자신의 블로그를 돋보이도록 하기 위한 행위였을테고 이를 통해 자신의 블로거로 다른 블로거들을 초대하게 되는 일이 되니 일석이조가 아닌 듯 싶다. 다만, 공개하고 싶지 않은 블로거, 많이 알려지는 게 싫은 블로거에게는 역시 좋지 않은 서비스 형태가 되지 않을까 싶다.


암튼, 음악을 통해 랜덤한 세상을 보게 되는 방식이라... "Life is Random"란 모 회사의 카피가 생각난다. 꽤 인기를 얻게 될 방식이란 생각.


Q~에 대한 기사


Q~ 서비스에 대한 또다른 생각


Q~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