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야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야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9년 3월 27일 금요일

MBC 100토론, 허구연, 김성한, 배칠수에 대한 짤막한 감상

■ 허구연 해설위원의 생각과 말이 빛났다. 허구연은 사투리가 강하고 말이 (아주) 조금 많은 것 같긴 하지만 야구에 대한 생각, 야구에 대한 미래, 과거에 대한 반성 등은 그 누구보다도 빛이 났다. 특히 과감히 공무원과 정치인을 까는 발언은 그 어떤 발언보다도 속이 시원했다. 문제의 핵심을 정확히 짚고 있지 않았나 싶다. 하고 싶은 말이 많은데 시간이 없어 답답해 하는 그의 표정에서 속시원히 모든 걸 말하고 깔 수 있는 기회를 주면 좋겠다 싶다.

내가 WBC 야구 중계를 볼 때 MBC 중계방송을 고집했던 건 다름이 아니라 허구연 해설위원의 분석과 예상 적중에 대한 신뢰 때문이었다. 다른 해설자들은 뒷북을 치거나 경기내용의 변죽만 울리는 데 반해 허구연은 때론 감독의 입장으로 때론 선수의 입장으로 때론 관중의 입장으로 해설을 하고 분석을 하고 예상을 했다. 그래서 야구를 재밌게 관전할 수 있지 않았나 싶다.

암튼, 오늘 100분토론의 허구연 해설위원의 발언은 그의 야구에 대한, 스포츠에 대한 열정과 고민을 들어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명쾌한 발언들로 인해 허구연에 대한 의외의 발견을 한 기분이었다.

* 허구연의 쓴소리 단소리 - 다음(DAUM) 스포츠


김성한 수석코치는 내가 어릴 적 해태를 좋아하고 있을 때 잘생긴 얼굴에 오리 궁둥이로 실력이 뛰어난 선수로 기억을 하고 있다. 김성한에 대해 인상에 강하게 남는 한 장면이 있는데 (내 기억이 맞다면) 당시 1루수를 보고 있고 있던 김성한이 갑자기 투수로 교체가 되어 마운드에 서서 공을 던지는 장면이다. 그는 투수로서의 역할을 120% 이상 아주 제대로 해냈다. 그런데 김성한이 투수로, 타자로 활약을 하면 남긴 기록은 상상을 초월하는 것이었다. (참고: 타자 김성한 vs. 투수 김성한)

100분토론에서는 후덕한 얼굴로 순수하게 선수들의 입장을 전하고 자신의 의견을 말하는데 조금 어눌하긴 하지만 '착한? 진심'이 묻어나오는 듯한 느낌. 현장의 소리를 좀 더 많이 전해주고 더 좋은 경기를 해줬으면 하는 바람.


배칠수는 '최양락의 재미있는 라디오'를 들으면서부터 좋아하게 되었다. 헬스관장으로 몸도 좋은데 사회인 야구를 10년이나 해왔다고 한다. 야구에 대한 생각, 의견, 이해는 전문가 수준인 듯 하다. 꽤 좋은 생각을 가지고 있는 30대 아저씨. 그러고 보니 인터넷에서 튜닝카로도 유명하지 않았나 싶다. 다양한 방면으로 재능이 넘치는 배칠수. 지금껏 100분 토론에 나왔던 연예인 중 가장 개념탑재가 잘 된 연예인이 아닌가 싶다.

배칠수의 2mb 성대모사를 더불어 정치풍자, 사회풍자를 라디오 뿐만이 아니라 TV에서도 보고 싶은 바람이다. mb치하에서는 불가능하리라 생각되지만. 성대모사의 최고봉.





부록: 정종철, 성진환의 성대모사

2006년 6월 14일 수요일

야구선수 양준혁, 그의 진심 그리고 오해와 진실.

먹야구를 꽤 잘했던 적이 있었다. 해태 타이거즈의 유니폼이 탐났던 적이 있었고 선수들의 코팅된 조그만 사진들을 모았던 적이 있었다. 아버님이 사준 야구 글러브를 끼고 동생과 공 주고받기를 한 적도 있었다.(형이란 이유로 늘 내가 투수를 했었지만... 미안, 동생). 친구 중에 야구부 선수가 있어 연습하는 장면을 구경하기도 했다. 정식 야구 시합을 해본 적은 없지만 지금도 실내 야구 연습장 근처를 지날 때면 몸이 근질거린다.

"월드컵 시즌에 왠 야구 얘기냐고?"

'sports2.0'에 들려 어제 한국전 내용이며 여러 축구관련 기사를 읽는 와중에 눈에 확 들어와 박힌 야구관련 기사가 몇 개가 있어 소개하려고 한다. 야구관련 기사라고 하기도 좀 그렇다. "양준혁"이란 야구 선수에 대한 심층 분석 기사인데 읽다보니 내용이 참 좋다. 특히 "양준혁"이란 인물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어서 좋다. 그저 "양준혁"에 대해 내가 알고 있는 건 '괴물신인'이었고 '거포', '트레이드 불운', '삼성' 등에 관련된 단순한 내용 뿐이었는데 기사를 접하고 나서 "양준혁"이란 사람을 알게 된 것 같아 기분이 좋다.

월드컵 때문에 관심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시간이 허락된다면 링크 따라서 기사를 읽어보기를 권한다.


기사1 : 양준혁 스토리 1969~1999 - 푸른 피의 정복자


기사2 : 양준혁의 진심 - 나의 꿈, 야구를 오래 하고 싶다


기사3 : 양준혁의 숨겨왔던 비기 - 전격 공개, 양준혁의 '양신타법'


기사4 : 기록으로 본 오해와 진실 - 양준혁은 왜 최고의 타자인가


출처 : sports2.0


"양준혁" 참 멋진 선수인 것 같다. 이런 선수가 많아질 수록 스포츠는 국가라는 울타리를 벗어나 참 이름을 되찾게 되지 않을까 싶다. 또 14년 동안 단 2시즌 부진했다니 정말 땀과 노력으로 이루어진 선수가 아닌가 싶다. 그가 이승엽을 칭찬하는데도 인색하지 않은 걸 보면 스포츠 선수로서, 한 개인으로서 잘 살아온 게 아닌가 싶다. "야구를 존경하는 선수 양준혁" 그가 앞으로 갈아치우게 될 기록도 기록이지만 그의 스포츠 정신과 삶의 자세를 배우고 닮아가는 많은 후배 선수들이 생겨나길.

아래는 위 링크가 끊어져 부득이 기사를 스크랩함.(문제시 바로 삭제)

푸른 피의 정복자


나의 꿈, 야구를 오래 하고 싶다


전격 공개, 양준혁의 '양신타법'


양준혁은 왜 최고의 타자인가



2005년 12월 26일 월요일

투 스트라이크, 쓰리 볼...

중국 친구 安颍(An Ying)이 보내 준, 함께 인사동에 갔을 때 찍은 사진.


이젠 실내야구장도 많이 사라져서
인사동에 있는 실내야구장은 문화유적같은 느낌이다.

야구장에 배트를 들고 서면
잘 치고 싶다는 욕심과
한동안 움직이지 않았던 근육들의 마찰음 때문에
괜한 땀만 흘리는 듯 하지만
투입된 금액만큼 공들이 다 던져지고 난 후
배트를 제자리에 꽂아놓을 땐
시원한 바람이 분다.

언제나 9회 말 투 아웃, 주자 만루일 수 없고
또 투 스트라이크, 쓰리 볼일 수 없지만
타석에 선 만큼 공을 끝까지 봐야 하고
배트를 휘두를 때마다 자세를 고쳐 잡아야 한다.
그 안에 진지함, 즐거움, 경쾌함, 반전이 있다.
삶이 꼭 그러하다.

잘 치고 싶으면 늘 연습이 필요하다.
가끔씩 휘두르는 배트로는
아무리 느린 공도 맞혀주지 않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