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사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사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9년 2월 19일 목요일

'뽀샵질'(포토샵작업)으로 돈 버는 사람들...

세상엔 포토샵 고수들이 너무나 많다. 처음 등장했을 때는 전문가스러운 면모를 보였던 포토샵이 이젠 소위 '초딩'들도 다룰 줄 아는 프로그램이 되었다. 서점엔 포토샵 관련 서적들이 넘쳐나고 포토샵 전문가들이라 자처하는 이들도 세상 도처에 존재한다. 유투브에는 포토샵 강좌가 올라오고 튜토리얼을 공유하는 사이트들도 넘쳐난다. 구글, 네이버, 다음에서 '포토샵'이라는 세 글자만 입력하면 수 많은 사이트에서 포토샵의 중요기능을 설명하고 어떻게 사진을 조작하고 편집하는지에 대해 알려준다. 그야말로 포토샵이 일상이 되어버렸다.

/

Tucia는 일상이 되어버린 포토샵을 활용해(일명 '뽀샵질') 유료로 작업을 해주는 곳이다. 지금까지 3만2천6백7십1명의 고객들이 17만4천2백9십6장의 사진을 보내서 작업 의뢰했다. 사진 한 장당 8$의 작업비용을 들였다고 생각하면 총 1,394,368$의 수익이 난 셈이다. 한화로는 2,039,960,384원(매매기준율 1,463원)이 된다.


Tucia는 7개 국가 2700여 명의 아티스트 및 사진 전문가들이 모인 국제적인 팀이라고 한다. 이들은 8$만 지불한다면 24시간 안에 고객들이 원하는 '뽀샵질'을 완벽하게 수행해낸다. 프로그램을 돌려서 수정, 보완, 편집을 하는 게 아니라 전문가들의 손으로 직접 작업을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즉 제대로 된 맞춤 서비스를 한다는 것이겠지.


사진을 보내주고 신용카드나 페이팔로 돈을 지불하면 24시간 안에 리뷰와 새로운 사진을 받아볼 수 있다.


초급, 중급, 고급 등 3단계로 나눠서 비용의 차별화, 작업의 차별화를 두고 있다.

이젠 누구나 다 다룰 수 있는 포토샵, 하지만 누구나 다 다룰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보다 강력하고 수준 높은 '신공(神功'을 보여주지 않으면 눈에 띄지도 않게 되었다. 그리고 그 수준을 갖춘 사람들이 인터넷을 통해 모여서 포토샵으로 수익을 내고 있다. 요즘은 이렇게 인터넷으로 서로 알게 된 사람들끼리, 혹은 이해관계가 맞는 사람들끼리 모여 국제적인 사업을 진행하는 걸 종종 볼 수 있는데 Tucia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재밌다.

아래는 Tucia의 작업 샘플이다.(왼쪽은 Before, 오른쪽은 After) - 사진 작업 이외에 일러스트레이션 작업도 함께 병행하고 있다.


2008년 9월 9일 화요일

청춘, 글렀어, Help, 살고 봐야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욕심에 일그러진 내 청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차피 만나지긴 글렀어.

사용자 삽입 이미지
 Help me, Help us!!!

사용자 삽입 이미지
 끈질기게 붙어먹기. 살고 봐야지.

2006년 7월 15일 토요일

생각할 수 있는 만큼의 공간.


보여지는 만큼의 하늘, 생각할 수 있는 만큼의 공간.
나머지는 상상으로 눈을 감으면 더 선명한.
너무 멀어 시선도 생각도 닿지 않는 곳의 당신.
눈만 감고 마음만 열면 그나마 어렴풋이 떠오르는.
그래서 이 만큼의 하늘도 내겐 넓은 공간.

2005년 2월 22일 화요일

그의 사진.


박동식.
형을 만난 것은 내 나이 스물 넷에 한국을 떠나 꼬박 열 몇 시간을 비행기로 날아 도착한 <인도>에서 한 달 후 즈음 한국으로 돌아오긴 전 머물렀던 <캘커타>에서 였다. 처음 발을 디딘 외국이라는 낯선 곳. 그것도 배낭여행에 가장 마지막 코스라고 불리던 인도. 온 몸이 삐쭉삐쭉 긴장이 서고 늘 마음을 다잡으며 하루하루를 보내던 것도 잠시. 일주일 후부터는 이방인으로 누릴 모든 혜택을 다 누리는 것 같은 자유로움을 느끼면서 대륙을 횡단했었다.

그 여행의 막바지 한국으로 돌아오기 며칠 전 캘커타에서 동식 형을 만났다. 반바지에 신발을 구겨 신고 작은 배낭을 메고 러닝 셔츠같은 옷을 입고 수동 사진기를 손에 든 모습이었다. 발 뒤꿈치는 물집이 잡혀 다 터져있는...어쩌면 정말 배낭여행을 가장한 우리보다 노련한 경험이 묻어보였던 건 당연한 일이었다. 여행 중에 단 한 번도 한국인을 만나지 못했던 터였고 캘커타에 도착해서 만난 첫 번째 한국인이었다는 사실에 반가워하며 기뻐했었다.

내가 가고 싶어하는 곳과 형이 가고 싶어했던 곳이 일치했기 때문에 난 일행과 헤어지고 형과 함께 몇 군데를 돌아다녔다. 많은 얘기를 했고 많은 것을 보고 배웠다. 형이 찍은 사진을 볼 때는 감동 자체였다. 기능도 별로 없는 작은 수동 카메라에 담긴 사람들의 모습은 삶을 그대로 간직한 모습. 얼굴. 표정이었다. 어떤 사진은 가슴에서 울컥하는 슬픔이 밀려오고 어떤 사진은 한 없는 자유로움에 눈을 감게 되기도 했다.

인도의 금주령을 피해 배낭 여행자에겐 가장 물가가 비싼 항목으로 꼽히는 맥주를 먹기 위해 자리를 옮겨가며 처음이자 마지막일지도 모르는 인도에서의 건배를 시간가는 줄 모르고 하며 폭우가 쏟아진 캘커타의 골목을 무릎이 잠겨가며 걷고 걸어 숙소로 돌아왔다. 인도에서 동식 형과의 만남은 그렇게 딱 1박 2일이었다. 나는 한국으로 돌아와야 했고 동식 형은 다른 곳으로 떠나야 했기 때문이었다.

그 이후로 편지를 주고 받았고 전화를 하며 지금까지 관계가 지속되고 있다. 벌써 10년 시간인가? 96년 그 해 인도에서 돌아온 형은 "마지막 여행"이라는 책을 출판했고 황송하게도 내 이름이 몇 번 등장한다. 그리고 또 한 권의 책 "제주도"도 발간했고 월간 PAPER 등 많은 곳에서 형의 글고 사진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여전히 형의 글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힘이 있고 특히 사진은 사람의 깊이를 담아내는 진심이 있다. 스스로 사진 찍는 법을 배우지 않았다고 하지만 어쩌면 인생을 배워가고 살아가고 견뎌내면 그런 힘을 얻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스스로를 완성해가는 방식으로 형의 글과 사진은 참 애정깊다. 사람을 어루만지는 힘이 있다. 관계를 어루만지는 따스함이 있다.

그런 형이 이번에 사진 전시를 한단다. 전시를 하는 속마음을 읽으며 많은 생각을 했다. 바빠서 갈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진심으로 축하드린다. 형의 홈페이지에 가보니 사진도 판매 한다하고 사인도 해준다 한다. 가격이 참 착하다고 한다. 형이 칭찬한 함께 전시하는 화덕현이란 분은 어떤 사람일까 궁금하다. 이들의 눈에 비친 세상이 궁금해진다.

새삼스럽게 문득 인도가 가고 싶어진다.
인도 언저리에 있는 티벳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