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china;chinese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china;chinese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2월 20일 토요일

새해엔 달콤하시라고 증지위가 권합니다.

 

홍콩영화의 감초, 증지위를 잘 아시지요? '첨밀밀'에서 미키마우스를 문신했던, 쓸쓸하고 비극적 최후를 맞았던 그 배우 맞습니다. 증지위가 나오지 않는 영화가 없을 정도로 참 많이도 등장하죠. 일설에 의하면 증지위가 연예인들이 자주 가는 미용실에서 일하고 있던 유덕화를 발굴해 낸 장본이라고도 합니다. 영화에서만 보던 증지위를 춘절(chūn jié;춘 지에-한국의 '설')에 마트에 갔더니 이렇게 활짝 웃으며 사탕을 권하고 있네요. 사실 한국의 연예인들의 상품광고에서 보는 거랑 별 다를 바가 없는데도 괜히 기분이 다르게 느껴집니다.^^

 

왼쪽에 노란 글씨로 크게 적혀져 있는 글은 新年糖(xīn nián táng;신 니옌 탕-새해 캔디?)이고 오른쪽 분홍 글씨로 적힌 글은 酥心糖(sū xīn táng;쑤 신 탕-브랜드 이름인 듯 합니다.)이네요.

 

새해엔 달콤한 사탕을 먹으면 좀 더 행복해지려나요?^^

새해 복 많이 짓고 받으시고 그리고! 달콤해지세요. :)

 

한 가지 더,

 

중국에서는 새해가 되면 집 안에 전구가 들어있는 복(福)자가 적혀진 빨간 종이 등을 밤새 걸어두기도 하구요. 현관문에는 春联(chūn lián;춘 리옌) 또는 对联(duì lián;뚜이 리옌)이라고 하는 종이를 좌우로 붙이고 가운데는 뒤집어진 복(福)자를 붙여두고 위에는 역시 복이 들어오기를 기원하는 글을 붙여두는데요. 이건 춘 리롄 혹은 뚜이 리옌은 한국에서 현관이나 문기둥에 '입춘대길', '만사형통'과 같은 글을 써서 붙여두는 것과 같은 겁니다.

 

그리고 위 사진과 같이 집 안 내부 곳곳에 그 해에 맞는 띠 동물로 된 그림들을 걸어둡니다. 올해는 호랑이 해인 만큼 집 안 곳곳에 호랑이들이 넘쳐나죠. 사진 속 호랑이는 분홍색을 띠고 있는 걸 보니 여자 호랑이네요. 그림은 모두 남/여성 한쌍으로 되어있습니다. 호랑이가 들고 있는 글자는 恭喜发财(gōng xǐ fā cái;꽁 씨 파 차이-돈 많이 버세요)이라고 적혀있네요.

 

중국에서 춘절에 서로서로 '꽁씨파차이'라고 말하면서 덕담을 건넵니다.

 

집집마다 다르겠지만 춘절에 걸어 둔 그림들은 일년 내내 두었다가 새로운 해가 되면 내리고 다른 그림으로 교체해 걸곤 합니다.

 

중국의 춘절은 한국의 설보다 훨씬 더 북적거리는 것 같습니다. 하긴, 1년 동안 잘 모아둔 돈을 춘절에 다 쓴다는 말이 있을 정도니 중국의 경제 역시 춘절에 크게 들썩거리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춘절에 쉬는 날이 한국의 두 배 정도 되는 게 가장 부럽습니다.-_-a

 

2010년 2월 13일 토요일

중국의 경품추첨의 규모는?

 

중국은 면적도 넓고 사람도 많다고 하잖아요? 규모를 짐작할 수 있는 사진 한 장 소개합니다. 중국에 장춘에 있는 欧亚;Ou Ya-오야 마트에 갔을 때 찍은 사진인데 春节;Chun Jie-춘지에(설)를 맞이하여 경품추첨행사를 한다는 플랭카드입니다. 위에서 두 번째 줄에 5000이라고 숫자가 보이시죠? 그 줄에 있는 글의 내용을 보면 추첨을 통해 5000명에게 茅台;Mao Tai-마오타이 술을 증정한다고 하네요. 세 번째 줄은 IMAX 3D영화 티켓 10000장과 생활용품 50만 개를 선물로 준비했다고 하네요. 물론 복권방식 등의 추첨을 통해서 주는 것이겠죠.

 

규모가 엄청나죠? 물건을 산 영수증 대로 기회가 주어진다니 매일매일 가서 쇼핑을 하면 그만큼 확률도 높아져서 한 사람이 여러 개의 상품을 받아가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만약 상품이 1인당 1개씩이라면 51만 5천 명(515,000)에게 줄 상품을 준비했다는 것이죠. 장춘시 인구는 대략 300만 명에 육박한다고 하니 장춘시 인구의 6분의 1에게 줄 상품을 준비했다는 거네요. 놀랍지 않나요?

 

물론 행사를 진행하는 欧亚;Ou Ya-오야 마트의 규모는 아시아에서 가장 큰 규모라고 하니 그럴만도 하겠다 싶지만 한국과 규모를 비교해보니 정말 놀랍기만 합니다. 사실 저런 내용을 보면 놀랍기도 하면서 저도 모르게 웃음이 나오기도 합니다.^^

 

플랭카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服饰类/钟表珠宝类/化妆品类/床品类/超市类/电器类/儿童商场

    5000瓶茅台酒滚动大抽奖发卷、投卷地点,

    10000张IMAX 3D影票 50万件适用礼品刮大奖活动地点、

    已迁至2F儿童世界旁

 

★ 5000瓶茅台酒滚动大抽奖现场、领奖地点

    已迁至-1F大西洋厅

 

------------------------------------------------------

 

경품추천이란 말은 抽奖 [chōu jiǎng]이라고 하며 한글음독은 [초우 지앙]입니다.

중국술 마오타이주는 茅台酒 [máo tái jiǔ]라고 하며 한글음독은 [마오 타이 지우]입니다.

설이란 뜻의 춘절은 春节 [chūn jié]라고 하며 한글음독은 [춘 지에]입니다.

 

춘절에 서로 하는 인사말은 "过年好"입니다. 过年 [guò nián;꾸어 니엔]은 설을 쇠다. 새해를 맞다라는 뜻이고 好 [hǎo;하오]는 좋다는 뜻이니 "새해 잘 보내세요", "명절 잘 보내세요"라는 뜻이 되겠죠. 그러니 설을 맞이해서 이렇게 인사하면 됩니다.

 

"꾸어 니엔 하오;过年好" :)

2010년 2월 7일 일요일

250(二百五)은 멍텅구리, 바보, 천치!

오늘 우연히 식사를 마치고 금액을 지불하기 전에 미리 계산을 해봤는데 250원(二百五;Er Bai Wu)이 나왔거든요. 함께 식사를 한 분들은 웃으며 금액이 참 묘하다고 하는데 무슨 말인지 몰라 고개를 갸우뚱 거리고 있었지요. 설명을 들어보니 250원은 '얼바이우'라고 발음이 되는데 이게 소위 '욕'이라고 하네요. 식사를 했는데 음식 값이 그렇게 나오면 기분이 썩 좋을리는 없겠지요.

 

암튼 푸우웬(服务员;Fu Wu Yuan-종업원)을 불러 영수증을 주고 계산을 해달라고 했지요. 아니나 다를까, 종업원이 계산을 마친 후 우리 쪽으로 걸어오는데 살짝 웃고 있더라구요. 종업원이 우리 테이블로 와서 웃으며 이렇게 말하더군요. "음식값은 249원(二百四十九块钱;Er Bai Si Shi Jiu Kuai Qian)입니다"

 

우린 모두 웃음을 터트렸지요. 종업원도 함께 웃고 말았구요. 만약 종업원이 '얼바이우(250원)'라고 말한다면 손님들에게 '욕'을 하는 셈이니 어쩔 수 없는 일이겠지요. 영수증을 보니 음식값은 250원이 맞는데 -1원 할인이 되었다고 표시가 되었네요.^^

 

250원, '얼바이우(二百五;er bai wu)'는 멍텅구리, 바보, 천치라는 뜻(중국어 사전:naver/daum)이랍니다. 중국에서는 '바보, 신중하게 말하지 않는 사람, 일을 대충하는 사람, 웃음거리가 되는 일을 벌이는 사람'을 뜻하는 말이라고 하네요. 그냥 숫자인 것 같은데 '얼바이우'라고 말하면 '욕'과 같은 말이라 해서 꺼린다고 합니다. 심한 욕은 아니지만 듣기에 따라서는 심한 욕이 될 수 있겠지요? 중국에서는 '욕'이라고 하니 어디 가서 '얼바이우'라는 말은 함부로 사용해서는 안되겠습니다.

 

그래서 물건 값을 흥정할 때도 절충가격이 250원이라 해도 250원을 서로 말하다 보면 '욕'을 주고 받는 셈이 되니 249원이나 251원으로 가격 흥정을 한다고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싸움이 날지도 모르니 조심해야겠네요.

 

250이란 숫자를 부득이하게 말할 경우에는

1. 二百五-'얼바이우'라고 하지 않고 两百五;Liang Bai Wu-'량바이우'라고 하거나

2. 二五零;Er Wu Ling-'얼우링'이라고 한답니다.

 

250이란 숫자, 즉 '얼바이우'가 왜 멍텅구리, 바보, 천치와 같은 뜻을 가지게 되었을까요? 여러가지 설이 있는데 그 중에 몇 가지만 소개해 볼까 합니다.

 

전국시대에 苏秦(Su Qin)이란 달변가(설득에 능한 사람)가 있었다고 합니다. 6국(六国) 모두에게 신망이 두터운 상당한 실력가며 위풍당당했지만 많은 원수를 만들게 되었다지요. 결국 후에 제나라에서 살해됩니다. 그런데 제나라 왕이 苏秦의 복수를 하겠다며 나섭니다. 제나라 왕은 苏秦의 살해범이 바로 잡히지 않자 꾀를 한가지 냅니다. 苏秦의 시체에서 머리를 베어 성문에 걸어둔 후 방을 붙이는데 내용이 이렇습니다. "苏秦은 내부의 첩자였다. 그를 살해한 자에게 황금 천냥을 하사할 테니 와서 받아가라". 방을 붙인 후 苏秦을 살해했다는 네 사람이 등장합니다. 제나라 왕은 거짓말한 자는 가만두지 않겠다며 엄포를 놓지만 네 사람 모두 자기가 苏秦을 살해했다며 확고한 태도를 보입니다. 결국 제나라 왕이 네 사람에게 묻습니다. "상으로 내릴 황금 천냥을 너희 네 사람이 어떻게 나눌 것인고?" 네 사람은 한 목소리로 대답했답니다. "한 사람당 250냥(얼바이우)씩 나눌겁니다". 말이 끝나기 무섭게 제나라 왕은 크게 노하여 소리칩니다. "여봐라, 이 네 '얼바이우(250)'들을 당장 끌고 나가 참수하거라". 

또 하나의 이야기는 민간에 전해오는 이야기라는데요. 옛날에 수재 한 명이 있었답니다. 과거에 급제하여 이름을 날리고자 식음을 전폐해가며 공부에 매진했는데 단 한 번도 급제를 하지 못합니다. 결국 시간이 흘러 노년에 이르러서야 공명과 명리에 마음을 모두 접게 됩니다. 그제서야 마침 아들 둘을 얻게 되는데 수재가 일생의 성패(成败)에 대해서 생각해보니 감개가 무량하더랍니다. 그래서 아들 하나는 성사(成事), 다른 하나는 패사(败事)라고 이름을 지었답니다. 이후 수재는 집에서 아들들을 열심히 가르칩니다. 어느 날 수재는 큰 아이에게 300번, 작은 아이에게 200번 글쓰기를 시키고 아내에게 밖에 나갔다 올테니 두 아들이 글쓰는 걸 봐달라 당부하고 길을 나섭니다. 집에 돌아와 아내에게 두 아들의 공부는 어땠는지 물어보니 아내가 대답하길, "쓰기는 썼는데 성사(成事)는 부족하고 패사(败事)는 넘칩니다. 둘 다 모두 250번씩 썼습니다."

다른 한가지는 중국 고대인들은 은(银子)을 량(两)의 단위로 구분했는데요. 보통 5백냥(五百两)이 정수였다고 하네요. 당시에는 종이에 잘 싸서 두었는데 500냥의 은을 잘 싸둔 종이 한 봉지를 '一封(Yi Feng-이펑)'이라고 했다네요. 그러니 250냥 은(银子)은 '一封(Yi Feng-이펑)'의 절반, '半封(Ban Feng-빤펑)'이 되겠지요? 그런데 이 '빤펑'이란 발음이 반쯤 미치다는 '半疯(Ban Feng)'과 발음이 같습니다. 그래서 후세인들이 실성하고 미친사람을 일컬어 '빤펑', 즉 250냥 은-'얼바이우'라고 불렀다네요.

현대에 와서는 (저도 참 좋아하는) 중국의 유명한 가수 伍佰(Wu Bai-우바이)의 노래를 배워도 잘 따라 부르지 못하면 잘해봐야 절반의 伍佰(우바이), 즉 半个伍佰라고 해서 '얼바이우(250)'라고도 한다네요.

 

혹시 중국에 가실 일이 있다면 '얼바이우(250)'는 말하지 않는 게 좋겠습니다. :)

 

 

** 중국어로 금액을 말할 때는 십단위로 끝날 경우 맨 뒤 '0'은 발음하지 않습니다. 250은 원래대로 말한다면 '二百五十;Er Bai Wu Shi-얼바이우'라고 말해야 하지만 '0'은 발음하지 않기 때문에 '얼바이우'까지만 말합니다. 하지만 뒤에 돈의 단위가 붙으면 모두 말해야 하죠. 250원은 '二百五十;Er Bai Wu Shi Yuan-얼바이우스' 또는 '二百五十块钱;Er Bai Wu Shi Kuai Qian-얼바이우스콰이치앤'

 

그럼, 130과 130원, 270과 270원은 어떻게 발음하면 될까요?

2009년 12월 13일 일요일

覆水不返盆 - 엎지러진 물은 다시 담을 수 없다.

모 항공사 TV광고에서 중국어가 들리죠? 그런데 도대체 뭔 말인지 알아들을 수도 없고 한문을 보면 알듯 말듯 아리송하죠. 광고에 나오는 짧은 몇 마디 중에 우리가 자주 쓰는 속담도 있네요. 한 번 알아볼까요?

 

覆  水  不  返  盆

fù shuǐ fǎn pén

 

무슨 뜻일까요? 네, 그렇습니다. '엎지러진 물은 다시 담을 수 없다'라는 뜻입니다.^^

지난 번에 병음(拼音) 읽는 걸 소개했죠? 거기에 맞춰서 일단 한국어로 변환시켜 읽어본다면

'f''ㅍ'(아랫입술)'이고 'u''ㅜ'니까 '푸', 'sh'는 shi에서 읽었던 것처럼 '쓰'발음, 'ui''우웨이' 그래서 '쒜에이', 'b''ㅂ/ㅃ'이고 'u''ㅜ'니까 '뿌', 'f''ㅍ'(아랫입술)이고 'an''안'이니까 '판', 'p''ㅍ'이고 'en''언'이니까 '펀'입니다. 이어서 읽어보면 '푸 쒜에이 뿌 판 펀'(f의 아랫입술발음 주의)이라고 읽습니다.

(광고보며 발음듣기: 광고와 저는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클릭은 안하시고 직접 다른 걸 찾아보셔도 됩니다.) 성조가 있으니까 성조 읽는 법을 유의해서 읽어보면 비슷한 소리를 내실 수 있을 겁니다.

 

친구가 실수를 한 후에 안타까워 하고 있다면 중국어로 '푸 쒜에이 뿌 판 펀'이라고 말해주고 어깨를 도닥여 줄 수 있겠죠. 기분이 무척 상해있던 친구라면 어디서 '외국어질'이냐며 화풀이를 할지도 모릅니다.^^ 혹시 중국어를 할 줄 아는 친구라면 '어디서 염장질이냐'고 '타-마---더'를 혼자 중얼거릴지도 모릅니다.-_-;; 그러니 웃는 얼굴로 말하지 말고 광고에서처럼 멋진 저음으로 말해줘야겠죠.

 

조금 간단하게(그래봐야 한글자 적은 것이지만)

 

覆  水  难   收

fù shuǐ nán shōu

 

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푸 쒜에이 난 쏘우'라고 읽고 뜻은 위와 같습니다. '난'이 '어려울 난'이구요. '쏘우'가 '거두어들일 수 '입니다.

 

발음을 녹음해서 올려드리면 좋을 텐데, 그럼 너무 일이 커지니...

 

 

▣ 읽어보기

 

원문: 若能离更合 覆水定难收 (拾遗记) - 강태공이 다시 떠났다가 다시 돌아온 아내 마씨(马氏)에게 동이에 물을 길어오라 해서 땅에 붓게 한 후에 다시 동이에 담으라 했다. 물은 담을 수 없고 진흙만이 손에 잡히는 마씨에게 강태공은 "그대는 떨어졌다가 다시 합칠 수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이미 엎질러진 물이라 다시 담을 수 없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문장 요약) via http://blog.naver.com/wing927/42773477

 

2009년 12월 8일 화요일

중국어의 운모(모음)와 발음 연습

이거 원, 중국어 기초 부분을 간단하게 설명하려다가 오히려 점점 복잡해지는 느낌이네요.^^;; 중국어 자음, 모음 소개만 끝내고 간단한 중국어 소개를 해야할까 봐요. 불특정 대상을 향해 무언가를 소개한다는 게 이런 문제점이 있군요. 스스로 한계를 잘 구분지어야 하는데 그런 계획없이 시작하니 처음부터 버거운 느낌이 들 밖에요.-_-; 인터넷에 '중국어' 검색어만 넣어도 어마어마한 분량의 정보가 쏟아지니 제가 그 정보를 늘리는데 일조를 하는 게 아닌가 싶어 멋쩍어집니다.-_-a

 

각설하고, 중국어 자음(声母;성모)는

 

b(ㅂ)  p(ㅍ)  m(ㅁ)  f(ㅍ/아랫입술)  발음듣기

d(ㄷ/ㄸ)  t(ㅌ)  n(ㄴ)  l(ㄹ)  발음듣기

g(ㄱ/ㄲ)  k(ㅋ)  h(ㅎ)  발음듣기

j(ㅈ/ㅉ)  q(ㅊ)  x(ㅅ/ㅆ)  발음듣기

zh(ㅈ/ㅉ/혀말기)  ch(ㅊ/혀말기)  sh(ㅅ/ㅆ/혀말기)  r(ㄹ/혀말기)  발음듣기

z(ㅈ/ㅉ)  c(ㅊ)  s(ㅅ/ㅆ)  발음듣기

y(ㅇ)  w(ㅇ)

 

가 있었지요. 앞서 소개한 표에는 등장하지 않는 y나 w같은 글자도 보입니다만 이건 한글의 'ㅇ'과도 같은 발음이라서 모음과 함께 있을 때만 발음을 합니다. 그래서 발음표에서 볼 수가 없었죠.

 

그럼, 모음(韵母;운모)은 어떤 게 있을까요. 모음은 한국어의 '아에이오우'와 같은 a  o  e  i  u가 있구요. 그 외에

 

a(아)  o(오어/오)  e(어/에)  i(이)  u(우)  ü(위)  발음듣기

ai(아이)  ei(에이)  ao(아오)  ou(오/어우)  발음듣기

ia(이아/이야)  ie(이에)  ua(우아/와)  uo(우오/우어)  üe(위에/웨)  발음듣기

iao(이아오/야오)  iou/iu(이오우/이우)  uai(우아이/와이)  uei/ui(우에이/우이)  발음듣기

en(언)  in(인)  uen/un(운)  ün(윈)  발음듣기

an(안)  ian(이안/얀)  uan(우안/웬)  er(어-얼/얼)   발음듣기

ang(앙)  iang(이앙/양)  uang(우앙/왕)  ong(옹)  발음듣기

eng(엉)  ing(잉)  ueng(우엉/웡)  iong(이옹/용)  발음듣기

 

이 있습니다. 무슨 모음이 이렇게 많냐고 생각하시겠지만 잘 살펴보면 a  o  e  i  u  ü가 기본이고 나머지는 조합일 뿐입니다. 가령, un같은 경우는 '우'와 'n'의 'ㄴ'을 붙여 읽으면 됩니다. 즉 '운'이라고 발음하는 거지요. 여기에서 어떻게 읽어야 할지 모르는 단어는 ü가 되겠지요? 이것은 한국어로 '위'라고 읽으면 됩니다. 닌텐도 게임기 'wii'를 읽을 때 처럼 '위'라고 발음하면 됩니다. 그럼, ün은 어떻게 읽죠? .... 맞습니다. '윈'으로 읽으면 됩니다. 이렇게 모음끼리 조합을 이뤄 다른 모음을 나타내는 것이니 어려워 할 필요는 없습니다.

 

위에서 말한대로 y, w의 경우 모음과 있을 때만 발음을 한다고 했기 때문에 살펴보도록 하죠.

 

yi(이)    yu(위)  ye(예)  yue(웨)  yang(양)  yong(용)

yin(인)  yun(윈)  yuan(위-안/웬)  ying(잉) 

wu(우)  wang(왕)  weng(웡)

 

처음부터 순서대로 읽으면 이, 우, 위, 예, 웨, 인, 윈, 웬, 잉...이 됩니다. 그런데 yu가 어떻게 '위'가 되냐구요? y와 함께 쓰이는 u는 원래 ü인데 위에 점 두 개를 생략한다고 하네요. 이건 그냥 암기를 하는 수 밖엔 없습니다. 그럼, yun은? 네, '윈'이라고 읽습니다. y와 w가 다른 모음과 붙었을 때 변화되는 건 다른 자음들과는 다르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다음 사이트에서 발음을 직접 듣고 따라해볼 수 있습니다.

 

e-Chinaro 사이트

다음(daum) 중국어 사전 사이트

 

위 두 사이트 모두 발음 모두가 소개되는 건 아니네요. 그래도 충분히 연습은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처음 접할 때 외국어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쉽게 익혀지지 않을 뿐 몇 번 접하다보면 병음을 보며 읽거나 발음을 흉내내거나 하는 건 충분히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읽기 어려운 발음이 있으면 문의해주세요.^^

 

DAUM 꼬마사전을 컴퓨터에 설치한다면 중국어 위에 마우스를 올려놓거나 글자를 더블 클릭하는 것만으로 발음을 들을 수 있고 사전도 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느낌으론 꽤 괜찮습니다.

 

자음, 모음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되신다면 앞어 말했던 大家好라는 글도 아래 병음을 보며 따라 읽을 수 있겠지요. 성조표시를 뺀 병음이 'da jia hao'였지요? 그렇다면 '따 지아(쟈) 하오'라고 바로 읽을 수 있겠네요.

 

혹시 빠진 게 있으면 말씀해주세요.^^

 

 

발음듣기 관련 링크는 小学生优秀作文网을 참고했습니다. (헥헥...)

4개의 성조와 성모(자음) 발음표

성조는 모두 4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광동어는 모두 9개(1.高平声 2.高上声 3.高去声 4.低平声 5.低上声 6.低去声 7.高入声 8.中入声 9.低入声)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에 비하면 정말 적은 숫자죠.^^ 중국어는 아시겠지만 표의문자이기 때문에 글자 수에 제한이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신조어도 등장하고는 있지만 기존에 있는 한자를 사용하는 수준을 넘어서는 신조어는 거의 없기 때문에 성조는 글자의 용도를 확대하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현재 중국어로 쓰이는 한자-간체자는 원래 한국에서 쓰는 한자-번체자와 같았는데 <汉字简化方案(중국어 간략화 방안)>을 통해 1956년 1월 28일 간체자로 변하기 시작해 1964년 5월 수정을 거쳐 현대 중국어의 표준이 생기게 되었다네요. UN에서도 이젠 한자는 간체자만을 사용한다고 하는군요.(참고) 간체자를 사용하게 된 데에는 중국 내에서도 찬반 양론이 있을 수 있지만 누구나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으며 디지털 시대에 맞는 간단한 표기 방식이라는 점에서는 이견이 있을 수 없겠지요.

 

성조에 대한 설명입니다.

 

제 1 성 : 높고 평탄한 소리.

1성은 성조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소리라고 합니다. 사실 중국어 발음을 하다보면 1성을 발음하기가 왠지 어색합니다. 여러 책에서 소개하는 걸 보면 대략 '솔'음계 정도의 높이로 주욱- 소리를 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1성의 소리높이 위치를 제대로 잡고 나면 2성, 3성, 4성의 위치가 비교적 쉽게 잡히기 때문에 기본이 되는 소리라 하는 모양입니다.

 

제 2 성 : 급하게 상승하는 소리.

2성은 1성보다 낮은 음에서부터 1성의 위치까지 소리를 끌어올리며 내는 소리인데요. '미'음계에서 '솔'음계까지 소리를 이어내면 됩니다. 사실 공부할 때 2성과 3성의 구분을 잘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요. 그건 3성이 뒷에 오는 단어의 성조에 따라 변화를 하기 때문일 겁니다. 아무튼 2성은 듣고 분간하기에도 어렵지만 소리를 내는 것도 그다지 썩 쉽진 않습니다. 연습이 많이 필요한 성조입니다.

 

제 3 성 : 낮게 쳐졌다가 다시 상승하는 소리.

4개의 성조중 가장 낮은 소리를 냅니다. 원래의 3성은 아래 음까지 떨어졌다가 끝에 다시 끌어 올리는 게 정상이지만 일반적으로 반3성(半三聲)이라고 하여 가장 낮은 곳으로 내려오는 곳까지만 소리를 냅니다. 하지만 다시 끌어올리는 소리가 전혀 없다고는 볼 수 없습니다. 이런 특성 때문에 3성은 2성과 구분하기도 어려울 수 있는데다 4성하고도 헷갈릴 수 있습니다. 4성 역시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소리이기 때문이죠. 다만, 3성이 조금 낮은 위치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4성과 3성은 떨어지는 위치가 좀 다릅니다. 원래는 "레"음계에서 "도"음계까지 떨어진 후 다시 "파"음계까지 올라가는 음이라고 합니다만 뒤 '파'음계까지 발음하지 않아도 된다는 겁니다.

 

제 4 성 : 급하게 하강하는 소리.

1성의 위치 '솔'음계에서 가장 낮은 곳으로 급격히 떨어뜨리면서 내는 성조입니다. 한국인들이 가장 잘 내는 성조 중에 하나죠.^^ 그런데 주의를 하지 않으면 1성보다도 훨씬 더 높은 음에서 시작해 아래로 떨구기 때문에 1성이 마치 3성처럼 느껴지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실제 회화에서는 4성을 1성보다 높은 곳에서 시작하기도 합니다만 TV아나운서들의 말을 잘 들어보시면 4성의 위치가 1성의 위치에서 정확히 시작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경성(輕聲) : 4개의 성조 외에 쓰이는, 성조는 없고 앞 단어 성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 소리입니다. 그냥 '툭' 아래로 힘없이 떨구는 정도의 소리만 내면 됩니다. 예를 들어 '妈妈 māmā 마마(엄마)'는 둘 다 1성인데 둘 다 1성으로 발음하는 게 아닙니다. 앞의 '마'만 1성으로 발음하고 뒤의 마는 그냥 툭 떨궈서 성조가 없이 발음하게 되는 겁니다. 중국어엔 이런 경우가 많이 있죠. 어떤 중국어 관련 책을 보면 '병음'에 성조를 표시해주면서도 간혹 성조 표시가 되지 않은 '병음'들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경성'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래는 중국어 발음표입니다.

 

중국어 발음표(성모편)

■ 성조소개부터 아래 발음표까지 중국어 발음표를 참고하고 개인적인 의견을 더해 첨삭과정을 거쳤습니다.

 

참 어려운 느낌만 가득하군요. 실제 발음을 들어가면서 연습을 한다면 이런 기본을 익히는데는 며칠, 혹은 몇 주면 끝나는 일이겠죠.^^;

 

사실 발음이 어려운 건 중국어만은 아닐 겁니다. 영어도 발음이 어렵고 일본어도 한국어로는 표현이 안되는 발음이 있잖아요? 다른 나라의 언어를 배운다는 게 쉽지 않다는 걸 알면서도 '쉽게 배울 수 있을 것 처럼' 말하는 것은 솔직히 스스로도 맘에 들진 않아요.^^;; 근데 관심이 있고 재미가 있다면 해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듭니다.

2009년 12월 7일 월요일

china;chinese 시작합니다.

쉽고 재밌게 접근해 볼 수 있는 중국어 학습에 관련한 내용을 적어볼까 합니다. 제가 공부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쉽게 이해하는 중국어' 정도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혹여라도 이곳을 통해 간단한 중국어 몇 마디 정도를 배울 수 있게 된다면 무척 기분 좋은 일이겠지요. 중국어를 이야기하다보면 중국에 대한 이야기도 자연스럽게 따라오게 될텐데 저도 조금씩 공부하며 알아가는 중국이니만큼 그 정보를 함께 공유하고자 합니다.
 
중국어 전공자 분들에겐 책 잡힐 일이고 중국통이라 불리시는 분들에겐 송구할 일이겠지만 아는 건 아는 만큼 또모르는 건 배우는 자세로 천천히 그리고 조금씩 이야기를 풀어갈까 합니다. 관련자 및 전문가 분들께서 혹시라도 보시다 틀린 부분을 발견하고 지적해 주신다면 더할 나위없이 고맙겠습니다.

글이 빨리빨리 올라오면 무척 좋겠습니다만, 이런저런 이유로 그렇게 되지 못할 것 같아 미리 양해를 구합니다. 그래도 큰 마음먹고 'china;chinese' 목록을 추가했으니 가능한 한 꾸준히 해봐야죠.

먼저, 인사 드립니다. :)

한국어로는 '따지아(빨리 읽으면 '따쟈') 하오'라고 읽고 '여러분 안녕하세요'라는 뜻입니다. '따쟈'가 '큰 집'이란 뜻이니 여러 명이 있는 걸 상상할 수 있겠지요. '하오'는 좋다!라는 뜻입니다만 '大家好'를 붙여서 읽을 때는 '여러분 좋아!'가 아니라 '여러분 안녕(하세요)!'라는 뜻이 되겠죠. 하긴 '안녕(安寧)'이란 말이 평안하고 좋다는 뜻을 담고 있으니 '여러분 좋아!'도 꼭 틀린 뜻은 아니네요.^^ 그렇게 기분 좋은 말로 인사합니다.

'따쟈 하오!'

기본적으로 중국어 아래 있는 알파벳(병음(拼音:pīnyīn)이라고 합니다)을 읽을 수 있으면 좋겠지만 직접 소리를 들려드리지 않고 글로 설명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네요. 일단 병음은 로마자를 읽는 것에 가깝지만 어떤 소리들은 '된소리'로 읽거나 '쇳소리'로 읽으면 된다는 점만 유의하시면 될 듯 하네요.^^

알파벳 위에 보면 작대기 표시들이 있는데 성조(음의 높낮이) 표시입니다. 1성, 2성, 3성, 4성까지 있습니다. 성조는 daum이나 naver 중국어 사전에 가셔서 직접 들어보시는 게 좋을 것 같군요. 중국어가 성조 때문에 배우기 어렵다고 하는데 솔직히 그렇습니다. 저 역시 처음 배울 때 성조를 제대로 배우지 않고 대충 넘어간 바람에 지금 성조 교정하느라 죽을 맛입니다.-_-; 성조와 몇 가지 발음만 정확히 하고 나면 사실 중국어는 일본어나 영어보다 더 쉽다는 게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