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1월 25일 화요일

인물과 사상의 종간...그리고 강준만.

난 첫 번째 대학시절 '녹색평론'이란 월간지를 정기구독해서 읽고 있었고 꽤 많은 것들을 배웠다. 지금은 하나도(는 아니겠지?) 실천하지 못하는 병든 이가 되었음을 스스로 비판해보지만 당시로서는 녹색평론을 읽으며 생활 속에서 실천하려고 노력도 했었고 실천의 움직임을 만들어 보기도 했었다. 당시에 유럽의 사회민주주의에 대해서도 그리고 '스코트 니어링, 헬렌 니어링'이란 이들도 책 속에서 만나기 도 했었다. 물론 그 모든 걸 거의 혼자서 이끌어간 김종철이란 교수도 알게 되었으니까.

그리고 두 번째 대학시절 아는 교수님과 긴 대화를 하다가 '인물과 사상'이란 책을 알게 되었다. 사실, 난 신문을 봐도 정치면은 잘 보지 않았기 때문에 그 책에 그리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나름대로 사회문제나 환경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정치면에 아무런 관심을 가지지 않으려고 억지로 노력했던 나의 우매함은 무엇이었던가. 교수님이 그 책을 권하며 던진 한 마디는 '재미있다'였다. 사실 이 책을 접하기 전에 많은 사회과학 서적-공산당, 사회주의, 한국 근대사-들을 접한 적 있었으나 흥미를 좀체로 생겨나지 않았고 늘 머리 속이 복잡하기만 했던 기억이 있었다. 그런데 '재미있다'라는 단순한 말 한 마디에 책을 빌려 읽기 시작했고 난 바로 정기구독을 해서 읽기 시작했다. 나중에 정기구독을 해서 읽을 마땅한 주소지가 없어지면서 간간히 사서 보기는 했지만 내겐 한 달 동안의 화두와 삶의 지침을 가르켜준 소중한 책이었다.(참 늦게도 발을 들여놓았다.)

이 책이 33권을 마지막으로 종간이 된다. 오늘 서점에 자료를 찾으러 갔다가 인물과 사상 33권을 보고 주문해서 읽어야지 생각하고 돌아와 블로그를 도는데 김규항씨 블로그에 인물과 사상과 강준만씨에 대한 언급이 있다. 그리고 많은 블로거들의 링크를 따라 읽어보니 인물과 사상의 종간 사실이 점점 내게 큰 아쉬움으로 밀려온다. 게다가 김규항씨의 글 말미에 "역사란 늘 ‘죽 쒀서 개주는’ 방식으로 전진하는 것이다."란 말이 허탈하면서도 마음으로 느껴진다.

강준만씨의 왕성한 집필과 시원한 필력, 활력있는 사회비판, 그리고 솔직담백한 생활, 자기고백들을 더이상 활자매체로 만나지 못한다는 것은 왠지 이 시대의 멋진 지식인 한 명을 잃는 느낌이다. 익산에 있을 때는 가까운 전주에 그 분이 있는 걸 모르고 살았고 서울에 와서는 전북대에서 도강이라도 하면서 그 분 수업을 듣고 싶은 욕심이 생겼었는데... 그런 상상조차도 이젠 사치가 되고 말았다.

인물과 사상의 종간이 금전적인 문제도 있는 것 같고 노무현 대선 이후에 강준만씨의 이런저런 심경변화 및 글쓰기와 사회현상의 판단에 대한 자기 반성과 더불어 절필 선언한 이후에 일어난 일이라 마음이 더더욱 씁쓸하기만 하다.

그 분에게 정말 많은 것들을 배웠음을 오늘 다른 이들의 글을 통해 다시 한 번 절감하게 되었다. 내가 지금 사회를 바라보는 시선, 애증, 고민 모든 부분에 있어 강준만씨에게 빚이 있음을 시인한다. 그 빚을 강준만씨께 편지를 써서 표현할 용기는 없지만 다른 사회적 발걸음으로 조금씩 보답을 해야겠다고 마음을 먹는다.



강준만 선생님.
보림하시고 다시 나오실 땐
저도 더 큰 마음으로 기쁜 마음으로 만나뵙도록 하겠습니다.
그 동안 감사했습니다.
그리고 수고 많으셨습니다.
건강하시고 늘 행복하시길 염원합니다.

댓글 3개:

  1. 관련기사] "인터넷이 활자매체 목졸라”

    [세계일보 2005-01-17 20:06]



    “인터넷이 활자매체의 목을 조르는 세상변화에 순응키로 해 ‘인물과 사상’을 종간키로 했습니다.”



    1997년 1월 창간된 ‘인물과 사상’의 강준만 발행인(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은 17일 종간과 관련해 이 같이 소회를 밝혔다.



    앞서 ‘인물과 사상’을 발행하는 도서출판 개마고원은 올해 1월 통권 33권을 끝으로 종간한다고 밝혔다.



    ‘인물과 사상’은 당시 금기나 다름없었던 ‘실명비판’이란 원칙을 견지하며 우리 사회의 성역을 깨는 데 일정한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개마고원은 최근 나온 제33권 사고에서 “그동안 ‘인물과 사상’의 마당에서는 우리 시대의 주요 인물에 대한 비판적 조명이 시도되었고, 사회적 요구와 필요에 부응하는 아젠다가 제출되기도 했으며, 그로 인한 많은 논쟁이 이뤄지기도 했다”고 말했다.



    개마고원은 “작으나마 그러한 나름의 역할과 소임이 있었음을 기쁘게 생각하며, 미력하나마 이를 감당코자 노력했다는 점을 위안으로 삼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인물과 사상’을 이끌며 1인 저널니즘이라는 신조어를 낳은 강 교수는 33권 머리말 ‘인터넷시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인터넷의 명암을 조명하면서 종간사를 대신했다.



    그는 “인터넷이 활자매체의 목을 조르고 있다”며 “신속성과 영향력, 만족도 등 모든 면에서 책은 인터넷의 경쟁상대가 되질 않는다. ‘인물과 사상’은 그런 세상의 변화에 순응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인터넷 글쓰기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을 잊지 않았다.



    그는 “초기의 민중적 장점에만 주목하기엔 인터넷은 너무 비대해졌고 금력과 권력에 눈독이 집중되고 있다”며 “‘저항’의 메시지는 이제 제스처로 변해갈 정도로 인터넷은 이제 더 이상 아웃사이더들만의 공간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박석규 기자, 연합뉴스

    답글삭제
  2. 강준만씨가 노무현 대통령에게 충격을 조금만 덜 받았었더라면 '인물과 사상'은 조금 더 나오지 않았을까 생각해. 난 '인물과 사상'을 많이 읽지도 않고 (그냥 원하는 부분만 쏙쏙 읽기도 하고), 기억도 잘 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참 여러모로 씁쓸한 일이야.

    답글삭제
  3. 내가 받은 느낌으로는...정확할지는 모르겠지만...

    노무현 당선에 대한 부분보다는 어쩌면 지식인들(!) 사이의 카르텔에 의한 퇴출은 아니었을까 싶은 생각도 든다. 아니지...그런 것에 연연할 강준만씨가 아니니 그렇지는 않겠지만 한 나라의 대통령에 대한 문제가 아니라 어쩌면 다수의 지식인, 민중의 이기적 소리에 대한 부분도 작용했을 거라고 봐. 어쨌든 씁쓸한 건 사실이야...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