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2월 12일 토요일

경쟁은 필요없다.

우연히 TV채널을 돌리다 시선이 멈췄다. 호흡이 느려졌고 가슴이 뜨거워졌다. EBS의 지식채널e에서 화면에 뎐져지고 있던 글귀들 때문이었다. 다시보기를 찾아 2부작으로 된 '핀란드의 실험'을 봤다. 아주 평범하고 단순한 사실인데 그 평범하고 단순한 사실 앞에서 '울컥'했다. 아래는 프로그램에서 나왔던 텍스트의 일부를 옮겨 적은 내용이다.

교실에서의 경쟁은 필요없다. 협동이 살길이다.
교실에서의 협동을 위해 성적표에서 사라지는 등수
오늘은 못하지만 내일은 잘할 수도 있고
수학은 못하지만 언어는 잘할 수도 있는 건데
몇 번의 시험으로 우열을 매기는 것이
학생 개인에게나 사회 전체에게나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
학교에서 경쟁만을 배우고 협동을 배우지 못한 아이들이
사회의 미래를 책임진다면 과연 그 사회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까요?

 

가정환경, 부모의 능력에 따라 달라지는 출발점
학교에 입학한 모든 아이들이 같은 출발선에 서지 못한다
그러니 공정한 경쟁이란 있을 수 없다.
학교에서의 경쟁을 금지하는 국가.(핀란드)
성적표는 있다. 하지만 등수는 없다.
등수 대신 각자의 수준에 맞게 설정한 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지가 표시되는 성적표
경쟁 대상은 친구가 아니라 내 자신.

 

일제고사를 통해 더 못하는 아이, 더 못하는 학교가 받는 차별은 다름아닌
더 많이 책정되는 1.5배의 예산이었다.
그들에게 차별은 차이를 넓히는 것이 아니라 차이를 좁히는 도구였다.

 

경쟁은 경쟁을 낳아 결국 유치원생까지 경쟁의 소용돌이에 말려들게 될 것이라는 사실을 국민들에게 설득시켰다. 학교는 좋은 시민이 되기 위한 교양을 쌓는 과정이다. 그리고 경쟁은 좋은 시민이 된 다음의 일이다. -에르끼 아호, 핀란드 전 국가교육청장

 

via EBS 지식채널e 중

핀란드의 실험 제1부 탈출구
핀란드의 실험 제2부 더 많은 차별

 

대한민국의 교육이 문제라고 열을 낸다. 교육정책이 엉망이라고 한탄한다. 교육정책이, 교육관련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르면 실컷 비난하고 욕을 하며 대한민국의 미래를 걱정한다. 그리고 잠시 담배 하나 피고 올 정도의 시간이 흐르고 나면 그래도 제 자식은 잘 키우고 싶어 등 떠밀어 학원에 보낸다. 학원에 가지 못한 아이는 자살을 생각하기도 하고 다른 아이들과 다른 삶 때문에 힘겨워 한다. 자식을 학원에 보내지 못한 부모는 아이에게 평생의 미안함을 끌어안고 살아야 한다.

 

누구나 다 학원에 가고 누구나 다 경쟁을 하고 누구나 다 상대를 짓밟아야 하는 냉정한 경쟁사회에서 '교육문제'를 거론하고 '바른 교육'에 대해 고민하는 건 왠지 뒤쳐지는 느낌을 주기에 충분하다. 교육이 문제라고 열을 올리면서도 지금은 때가 아니라 생각하는 거다. 지금 뒤쳐지면 평생을 '루저'로 살아야 하고 인생 전체가 망가지게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괜찮은 대안학교가 생기면 '경쟁적'으로 학교에 입학을 시켜야 하고 그 학교를 나온 학생이 대학도 잘 가더라, 공부도 알아서 잘 하더라는 소문이 삽시간에 번진다. 공교육을 강화하자고 입을 모아 외치고선 과외선생님을 집 안으로 모시고 따로 선생님을 찾아뵙고 입소문과 인터넷을 뒤져 가장 좋은 학원으로 아이를 떠민다. '교실에서의 경쟁은 필요없다. 협동이 살길이다.'는 말은 '이상적 답안'일 뿐 '현실 대안'이 될 수는 없다. 제 자신 혼자서 '이상적 답안'을 좇아 사는 건 무척 두렵고 힘겨운 삶이다. '이상적 답안'을 좇는 게 둘이어도, 열이어도, 백이어도 어차피 이 세상에선 소수일 뿐이다. 다수가 하자는 대로 살지 않으면 피곤만 가중될 뿐이다.

 

세상이 이렇기에 '학교는 좋은 시민이 되기 위한 교양을 쌓는 과정'이고 '경쟁은 좋은 시민이 된 다음의 일'이라 말하는 에르끼 아호의 말이 더 가슴을 울리는지 모르겠다. 내 어릴 적 '전인교육'에 대한 뜻을 배우고 '배움은 평생' 지속되어야 한다는 말을 배웠는데 그건 단지 교과서 안에만 있는 말일 뿐이고 현실에선 전혀 쓸모없는 이야기가 되고 말았다. 우리는 교육을 통해, 학교를 통해 좋은 시민이 되었는가. 좋은 시민으로 살고자 하는 욕구는 존재하는가.

 

경쟁은 소수의 지배자가 세상을 다스리기 가장 손쉬운 방법 중 하나일 뿐이다. 그들의 노예로 만들게 하기 위해선 '경쟁'만큼 좋은 도구가 없다. 혹 경쟁을 통해 그들의 세상 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고 한들 그것은 단지 그들 사회의 가장 하층계급이 되는 것일 뿐 그들이 정해놓은 룰을 벗어나 그들과 같은 레벨로 설 수는 없다.

 

경쟁을 거부하면 당장은 나의 삶이 힘겨워질 것이다. 남에게 짓밟히고 이리저리 채일 것이다. 실제로 그럴 수도 있고 그렇다고 착각을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경쟁을 거부한다고 해서 그런 일들이 실제로 벌어질 확률은 생각보다 적다. 오히려 그런 노력들이 세상을 바꾸는 발판이 될 수도 있다.

 

세상에 공정한 경쟁이란 존재할 수 없음에도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다고 부추기는 특권층과 사회 분위기. 평등이란 말 자체가 이미 성립될 수 없는 사회임에도 평등을 이루겠다고 주장하고 부추기는 사회. '아랫것'들이 머리 터지며 출혈경쟁을 하는 것이, 평등해질 수 있다고 착각하는 것이, '윗분'들의 레벨로 상승할 수 있다고 맹신하는 것이 얼마나 부질없는 일인지 깨닫지 못한다면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에 대해 밤낮으로 이야기한들 공염불에 불과할 것이다.

 

** 지식채널e 동영상에 나온 내용 중 핀란드는 1985년 우열반을 폐지했다고 한다. 그 때부터 학교에 경쟁이 아닌 협력과 협동의 개념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았나 싶은데 그 때부터 지금까지 대략 30년이 흘렀다. 어떤 정책이던 사람들의 사고와 행동이 바뀌는 시간 대략 30년, 한 세대 정도의 시간. 그 시간이면 충분하다.

 

 

▣ 함께 읽기

비장(悲壯)한 수능(修能)현장을 보며...

via 규항넷

행복이란 무엇인가
학원을 없애자

댓글 3개:

  1. trackback from: 능력?
    교육의 문제는 능력의 정의를 매우 협소하게 해석하게 된다는 점이다. 교육에서는 특히 빠른 이해력과 긴 암기력을 우대하는데, 이러한 능력은 실수하지 않는 100점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물론 이것은 대단한 장점이고, 탁월한 지적 소양을 암시 하는 것이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다. 이를테면 나쁜 기억력이 나쁘기만 한 것은 아니다. 기억력이 좋은 사람들은 삶의 많은 부분을 기억에 의존한다. 이건 편리한 것이지만, 진부할 뿐 아니라, 위험할 수...

    답글삭제
  2. 좋은 글 정말 잘봤습니다. 저의 못생긴 글도 하나 걸어둡니다. :)

    답글삭제
  3. @egoing - 2009/12/24 11:05
    못생긴 글이라뇨. 당치 않으십니다. :) 게다가 고민하는 글들로 소통하는 것이라면 생김새는 중요하지 않잖아요? :)

    답글삭제